메뉴

비욘드포스트

검색

닫기

We코노미

한국표준장례문화원 "일본식 수의 대신 전통 장례 추진"

"상주가 장례용품 자유롭게 선택해야"

2019-01-29 16:10:00

[비욘드포스트 박주영 기자] 앞으로 장례문화에 고인이 평소 즐겨 입는 옷으로 일본식 수의를 대체하고 자유로운 한국식 표준장례문화가 가시화 될 전망이다.

28일 한국표준장례문화원은 수의를 고인이 평소 즐겨 입거나 가장 화려하고 좋은 수의를 해드리는 전통 장례문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립민속박물관의 한국일생의례사전에 따르면 조선시대 수의는 고인이 평상시 입던 옷이나 예복에 해당하는 옷 또는 가장 좋은 옷을 수의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더욱이 수의의 옷감은 주로 명주나 비단 종류가 사용됐으며 관리는 관복을, 유학자는 하얀 심의를, 여성은 혼례식 때 입었던 옷을 준비하는 등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옷을 수의로 입었다고 기록돼 있다.

한국표준장례문화원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삼베수의가 우리 장례문화에 자리 잡은 것은 1925년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우리 복식 문화를 격하시켜 민족문화 말살 및 통치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죄인이 입던 삼베옷을 고인에게 수의로 입히도록 했던 때부터라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표준장례문화원은 지금도 장례식에서 고인이 평소 좋아하던 옷을 수의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상조업이 도입된 초기 ‘모시를 쓰면 자손의 머리가 하얗게 되고 비단 수의를 쓰면 썩지 않아 몸을 칭칭 감고 구더기가 난다’, ‘삼베수의를 써야 해충이 없고 잘 썩는다’는 등 각종 속설이 난무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한국표준장례문화원은 이 때문에 당연시된 상·장례문화와 상조업체들이 만든 상조상품의 틀에 갇혀 일반인들은 상조 상품에 포함된 수의 가격 및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비용도 알 수 없고 선택할 권리조차 배제됐다고 밝혔다. 이어 삼베수의뿐 아니라 완장, 리본, 국화꽃 장식 등에 이르기까지 장례가 온통 일본식으로 치러진다는 것은 청산해야 할 일제 강점기의 잔재물이라고 덧붙였다.

이명규 한국표준장례문화원 대표는 “일제 강점기의 장례문화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서는 일선에서 일하는 장례지도사들과 상·장례업계가 솔선수범해야 한다”며 “삼베수의 대신 고인이 평소 좋아하던 옷을 사용하도록 하고, 일본 왕실을 상징하는 국화꽃 대신 고인이 좋아하던 꽃으로 장식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상주가 장례용품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장례비용 또한 허례허식과 거품을 빼고 장례가 모두 끝난 뒤 비용을 지급하는 방식이 소비자 중심의 장례서비스로서 가장 보편적이며 한국적 장례문화로 나아가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삼베 수의' 한국 상·장례 문화의 식민지성

박주영 기자 pjy@beyondpost.co.kr

헤드라인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