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비욘드포스트

검색

닫기

We코노미

[칼럼]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 지켜낸 시민연대

2020-12-04 11:09:51

박근종 성북구도시관리공단 이사장(전, 소방준감, 서울소방제1방면지휘본부장, 종로·송파·관악·성북소방서장)
박근종 성북구도시관리공단 이사장(전, 소방준감, 서울소방제1방면지휘본부장, 종로·송파·관악·성북소방서장)
‘평화의 소녀상’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모습을 형상화한 청동조각상으로 여성단체들이 모여 구성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에서 1992년 1월 8일 미야자와 기이치(宮沢喜一) 당시 일본 총리 방한을 계기로 매주 수요일마다 낮 12시에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의 1,000회를 기념하여 ‘위안부 평화비’를 기획하고 조각가인 김운성·김서경 부부작가에게 의뢰하여 ‘평화의 소녀상’이라는 이름으로 2011년 12월 14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최초로 설치되었다.

‘평화의 소녀상’은 높이 130cm로 치마저고리를 입은 짧은 단발머리 소녀가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인데, 불규칙하게 잘린 단발머리(부모와 고향으로부터의 단절을 의미)로 의자 위에 손을 꼭 쥔 채 발꿈치를 살짝 든 맨발(전쟁 후에도 정착하지 못한 피해자들의 방황을 상징)로 앉아 있고, 왼쪽 어깨에는 새(세상을 떠난 피해자들과 현실을 이어주는 매개체 의미)가 앉아 있으며, 바닥에는 할머니 모습의 그림자가 있고, 옆에는 빈 의자(세상을 떠났거나 세상에 드러나지 않은 모든 피해자를 위한 자리 의미)가 놓여 있다.

이후 전국 각지에 ‘평화의 소녀상’들이 건립되어 일제의 만행을 되새기고, 다시는 역사의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고, 해외에도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 주 글렌데일 시립중앙도서관과 미시간 주 한인문화회관에 이어 캐나다 토론토 한인회관에도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졌고, 호주, 중국, 대만 등 세계 각지에도 세워지게 되었으며, 일본에는 국제예술제인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에 출품하였으나 스가 요시히데(菅 義偉) 일본 관방장관과 오무라 히데아키(大村秀章) 아이치현 지사의 일방적 통보로 강제 전시 중단되기도 했다. 유럽에는 2차 대전의 패전국인 독일 남부 바이에른주(州) 레겐스부르크 인근 비젠트 공원에 일본의 범죄를 알리는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져 특별한 의미를 지녔다.

이어서 독일 베를린시(市) 시민단체인 코리아협의회(Korea Verband)도 미테구(區)에 ‘평화의 소녀상’ 설치를 신청하여, 2019년 7월 설치 허가를 받아, 2020년 9월 말 미테구(Bezirk Mitte) 거리에 세웠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독일 연방정부와 베를린 주(州)정부에 항의하자 미테구는 2020년 10월 7일 철거 명령을 내렸고, 이에 베를린 시민사회가 반발하였고 코리아협의회(Korea Verband)가 행정법원에 ‘철거명령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제출하여 일단 철거명령이 보류된 상황에서, 12월 1일(현지시간) 미테구의회는 녹색당과 좌파당이 공동 발의한 ‘평화의 소녀상 영구설치 결의안’을 미테구의원 29명이 참석한 가운데 찬성 24명, 반대 5명으로 통과시켰다는 외신은 쾌보(快報)가 아닐 수 없다.

미테구의회 ‘프랑크 베르터만’ 의장(녹색당)은 표결 이후 “성폭력 희생자를 추모하는 평화의 소녀상 보존을 위한 결의안이 다수결로 의결됐다.”라고 밝혔고, ‘틸로 우르히스’ 의원(좌파당)은 의안설명에서 “평화의 소녀상은 2차 세계대전 중 한국 여성에 대한 일본군의 성폭력이라는 구체적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라고 했으며, “전쟁이나 군사 분쟁에서 성폭력은 일회적인 사안이 아니고 구조적인 문제로, 근본적으로 막아야 한다.”면서 “평화의 소녀상은 바로 그 상징”이라고 했다며 외신은 낭보(朗報)를 전했다.

이번에 압도적 찬성으로 채택된 결의안은 법적 구속력을 갖지는 않지만, 결의안 채택을 계기로 소녀상의 영구설치 논의가 의회 주도로 본격 시작되는 것이어서 큰 의미가 있다. 특히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한(韓)-일(日) 간의 갈등(葛藤)과 반목(反目)이 아니라 전시 성폭력과 여성 인권의 보편적 문제로서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해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클 뿐만 아니라 분쟁지역에서 여성의 존엄을 짓밟는 성폭력이 다시는 벌어지지 않기 위해서라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 문제를 널리 알리고 소녀상을 지켜야 한다는 독일 국민의 성숙한 의식과 공감을 높이 평가하고 경의를 표한다.

이러한 쾌거(快擧)의 이면에는 베를린 시민사회의 반발과 소녀상 설치를 주관한 현지 시민단체인 코리아협의회(Korea Verband)의 결연한 의지와 단호한 투쟁이 큰 역할을 했다. 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서울 성북구 계성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나유정 양과 진영주 양은 최근 독일 베를린 미테구 주민들에게 편지를 썼다고 한다. 현지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이 철거될 위기에 놓이자 항의하며 철거를 막아 줬던, 생면부지의 외국인들에게 꼭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었다고 한다. 진양은 독일어로 ‘감사하다’라는 뜻의 ‘Danke Schön’을 편지에 생전 처음으로 꾹꾹 눌러썼고, 편지지 뒷면에는 윤동주 시인이 조국의 독립을 간절히 바라며 쓴 '별 헤는 밤'의 시구가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이들뿐만이 아니다. 이승로 성북구청장은 성북구청 직원들과 관내 26개 초·중·고교 학생들과 함께 소녀상 철거를 막아준 독일 주민들에 보내는 감사 편지 쓰기에 나섰고, 미테구 소녀상 철거명령 중지 가처분 소식이 전해진 2020년 10월 계성고등학교 학생들은 ‘고마워요 독일 국민’ 손편지 쓰기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소식을 접한 주변 학교 학생들이 동참하면서 릴레이처럼 확대된 것이다. 그렇게 모인 편지는 무려 3,600통이나 된다. 성북구는 이 편지들을 독일 미테구로 보낼 예정이라고 한다.

일본 정부는 이번 독일 미테구 의회의 결의안 채택을 직시하고 그들이 자행한 천인공노(天人共怒)할 만행을 크게 깨달아야 한다. 독일과 일본은 둘 다 2차 세계대전 전범국가(戰犯國家)이지만 과거사 청산에 있어선 전혀 다른 길을 걸어왔다. 1970년 12월 7일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에 있는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에 의해 희생된 수십만 명의 유태계 폴란드인들을 위한 위령탑 앞 맨바닥에 무릎을 꿇고 비를 맞으며 흐느낀 독일의 빌리 브란트 총리가 있었다. 전쟁이 끝나고 25년이 지난 뒤, 서독의 총리가 진심으로 과거의 잘못에 용서를 빌고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을 맞이한 2015년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독일 최초의 유대인 강제 수용소였던 다하우 수용소를 방문해 "희생자, 우리 자신, 그리고 미래 세대를 위해 결코 역사를 잊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했고, 한 역사학자와의 대담에서 “역사의 반성에는 끝이 없다.”라고 했으며, 2019년 메르켈 총리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약 110만 명의 유대인 학살이 자행된 폴란드의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강제수용소를 찾아 “책임을 인식하는 것은 독일의 국가 정체성의 일부”라고 했으며, “독일인이 이곳에서 저지른 야만적 범죄에 대해 마음 깊이 부끄러움을 느낀다. 어떤 말로도 이곳에서 비인격적 처우를 받고 고문당하고 살해당한 많은 사람의 슬픔을 달랠 수 없을 것”이라고 고백하기도 했다.

이렇게 독일인들은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는 이들에게 과거는 반복된다.’라는 역사의 교훈을 잊지 않고 과거사 청산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 왔다. 반면에 일본은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전쟁 기간 자신들이 저지른 만행에 대해 여태껏 제대로 사과한 적이 없다. 그런데 반성은커녕 평화의 소녀상 설립 방해 외교를 감행한 것은 일본이라는 나라의 후안무치(厚顔無恥)한 수준을 짐작하기에 충분하고 남음이 있다. 소녀상의 의미는 틸로 우르히스 의원의 의안설명에 고스란히 농축되어 있다. 한국인도 아닌 독일 구의원의 진정 어린 절규와 외침을 일본은 마땅히 부끄럽게 새겨들어야 함은 뮬론 대오각성(大悟覺醒)하고 크게 반성해야 한다.

“역사가 강력한 힘을 갖는 까닭은 우리 안에 역사가 있기 때문이고, 우리가 깨닫지 못하는 방식으로 우리를 지배하기 때문이며, 그리하여 말 그대로 우리가 하는 모든 일 안에 ‘현존하기’ 때문이다.”라고 한 미국의 소설가 제임스 볼드윈(James Baldwin)의 말을 굳이 빌리지 않아도 역사는 우리를 지배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현재라는 이름으로 과거와 미래를 살고 있는지 모른다. 우리는 모든 순간에 새로운 역사를 만들고 있다. 소녀상의 설립과 철거를 둘러싼 최근의 일을 바라보며 우리는 역사의 교훈을 잊지 않는 국가와 민족만이 생존하리라 굳게 믿는다. 일본은 자만에 사로잡혀 또다시 역사 앞에 죄를 지어서는 안 된다.

news@beyondpost.co.kr

헤드라인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