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몸에 어딘가 문제가 생긴다면 빠르게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이다. 하지만 민감한 부위에 발생하는 질환의 경우 증상을 숨기고 있다가 뒤늦게 내원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게 바로 치질이다.
치질은 항문에 생기는 양성질환을 통칭하는 말이다. 항문 주위의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겨 발생한다. 방치할 경우 증상이 더욱 악화되면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치질은 크게 항문이나 하부 직장의 정맥이 늘어지고 커지면서 덩어리가 생기는 치핵과 항문 주변에 농양이 생겨 고름이 배출되는 치루, 항문의 입구에서 안쪽 치상선까지 이르는 항문관 부위가 찢어지는 치열로 구분할 수 있다.
그중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치핵은 반복되는 배변과 힘주어 변을 보는 습관에 의해 발병한다. 복압이 높아지면서 점막 하 조직을 압박해 울혈이 생기고, 항문 주위의 조직이 변성되면서 덩어리를 이루게 된다.
치핵은 진행 정도에 따라 1도부터 4도까지 나뉜다. 배변 시 출혈만 있거나 조직이 돌출되었다가 다시 들어가면 1~2도, 돌출된 조직이 자연적으로 들어가지 않아 손으로 밀어 넣어야 하면 3도, 밀어 넣어도 들어가지 않고 괴사 및 통증을 유발하면 4도 치핵이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치질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때문에 항문외과에 내원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기에 발견한 경도의 치핵이나 급성치열의 경우 약물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다.
SNU서울외과 김태선 대표원장은 “경도 치핵의 경우 약물을 복용하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지만 소강상태로 남아있다가 다시 증상이 악화되거나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 경우 근본적인 효과를 위해 수술적 치료가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적절한 수술 시기는 대장항문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 및 검사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