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HOME  >  대학·교육

한양대 고령사회연구원, ‘한국인 노화불안 척도’ 개발

이봉진 기자 | 입력 : 2025-09-17 14:22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노후에 대한 불안 정도 상이해

한국인 노화불안 척도 인포그래픽. (사진제공=한양대)
한국인 노화불안 척도 인포그래픽. (사진제공=한양대)
[비욘드포스트 이봉진 기자]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연구팀(원장 이삼식, 부원장 엄애선, 김성민 교수, 장효정 연구원)은 전국 성인 4,2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 노화불안 척도’를 개발하고, 그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한국인의 평균 노화불안 점수는 3.23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9개 세부 요인 중에서는 ▲건강 상태 악화(3.80점) ▲경제력 상실(3.57점)이 가장 높은 불안 요소로 꼽혔다. 길어진 노년기에 만성질환이나 치매 등 건강 문제, 경제적 활동 기회의 상실이 핵심적인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어 ▲이동성 저하(3.36점) ▲죽음과 상실감(3.21점) ▲외모 변화(3.16점) ▲노인 낙인 인식(3.13점) ▲사회적 소외(3.08점) ▲취미·여가활동 결핍(2.89점) ▲관계적 빈곤(2.84점)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청년층(20~30대, 3.38점)의 노화불안이 중년층(40~50대, 3.19점)과 고령층(60대 이상, 3.12점)보다 높았다. 연구팀은 “청년층의 경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노후 준비 부담, 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성별 차이도 뚜렷했다. 여성(3.28점)이 남성(3.17점)보다 전반적인 노화불안이 높았고, 대부분의 세부 요인에서도 여성이 더 큰 불안을 보였다.

다만 ‘관계적 빈곤’은 남성에서 더 높게 나타났는데, 연구팀은 “남성이 직장 중심의 제한적 사회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아 은퇴 후 사회적 네트워크 상실에 대한 우려가 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가족적 특성에 따라서는 미혼자(3.33점)가 기혼자(3.17점)보다, 0~1자녀 가정(3.23점)이 2자녀 이상 가정(3.14점)보다, 독거(3.31점)가 비독거(3.21점)보다 노화불안 수준이 높았다. 가족 자원이 제한적일수록 노년기 지원 가능성이 낮고 경제적·정서적 불안정성이 커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경제적 요인별로는 임금근로자(3.26점)가 비임금근로자(3.13점)보다, 저소득층(소득 1분위 3.30점, 2분위 3.26점)이 중·고소득층(3분위 3.18점, 4분위 3.15점)보다, 전·월세 거주자(3.35점)가 자가·무상 거주자(3.17점)보다 노화불안이 더 높았다.

연구팀은 “임금근로자는 정년 은퇴에 따른 소득 단절 가능성이 크고, 저소득층과 무주택자는 현재의 빈곤·거주 불안정이 노년기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압박을 크게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적연금 가입 여부도 차이를 보였다. 공적연금 미가입자(3.32점)가 국민연금 가입자(3.19점), 직역연금 가입자(3.16점)보다 노화불안을 크게 느꼈다. 이는 연금 사각지대에 있는 국민이 노후 생계에 대한 불안감을 크게 체감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삼식 원장은 “이번 노화불안 척도는 초고령사회 한국에서 국민의 불안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첫 지표”라며 “앞으로도 한양대 고령사회연구원에서는 세부 요인별 심층 연구를 이어가 국민의 노후 삶의 질 향상과 맞춤형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bjlee@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학·교육 리스트 바로가기

인기 기사

최신 기사

대학뉴스

글로벌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