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 확산에 설 연휴 영향 "1~2주 지켜봐야"
"의료 체계 여력 충분하면 일상회복 재시도"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이 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뉴시스> 정부가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오는 20일까지 2주 연장하되, 확진자가 증가하더라도 위중증·치명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 방역조치 완화 및 일상회복 재추진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통제관은 4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위험요인과 선행 국가들의 사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거리두기를 2주간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의료체계 여력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지만, 확진자 수가 증가할수록 고령층·중증환자 수도 증가하는 만큼 긴장을 늦출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 통제관은 "아직 유행의 정점을 예측하기가 어려운 상황이고 이번 주말까지는 설 연휴로 인한 이동이 계속될 것"이라며 "앞으로 1~2주는 유행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0시 기준 확진자는 2만7433명으로 연일 2만명대가 발생하고 있다.
이 통제관은 유행 정점 시기에 대해 "많은 전문가들이 2월 말쯤이 되면 정점이 될 것이라고 생각은 하고 있다"면서도 "아직까지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위중증 환자나 사망자 증가세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위중증 환자는 일주일 연속 200명대이며 사망자는 24명이다.
이 통제관은 "확진자 수가 증가할수록 고령층·중증환자 수도 증가하므로 정점 규모에 따라서는 12월 델타유행보다 높아질 수 있어 긴장을 늦출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거리두기 조정은 가급적 최대한 추가적인 강화 없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확진자가 증가하더라도 지금처럼 위중증·치명률 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의료체계 여력이 충분한 경우에는 일상회복 재추진을 검토한다.
반대로 유행이 급증해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올라가고 의료 대응 여력이 감소하면 추가적인 방역 강화 대책을 검토한다.
이 통제관은 "확진자가 증가하더라도 위중증·치명률이 계속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의료체계 여력이 충분하다면 방역 규제를 단계적으로 해제하면서 일상회복을 다시 시도하기로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영업·소상공인분들께서는 기대에 못 미치는 분이 있을 것이고 상당히 안타까운 심정이 있으실 것"이라며 "가급적 최대한 추가적인 거리두기 강화 없이 이번 유행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