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6인·11시…8인·12시 또는 유지 유력
거리두기 조정 전날도 "방향 언급 어려워"
"완화 시 확진자 늘 것…인명 손실 불러와"
식당·카페 등 12종 다중이용시설 영업 시간이 밤 10시에서 11시까지 1시간 연장되고 사적모임 인원 제한 6명은 종전대로 유지되는 가운데 6일 서울 마포구 홍대거리 한 식당에 영업시간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하루 55만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며 유행이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가 18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한다.
'사적모임 6인·영업시간 제한 오후 11시'를 골자로 한 현행 거리두기는 오는 20일 종료되며, 21일부터 새로운 거리두기가 적용된다.
정치권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열린 방역전략회의에서는 '8인·밤 12시'로 완화하는 방안과 '6인·오후 11시' 현행 체계를 유지하는 방안을 두고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 16~17일 서면으로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차원에서 서면으로 의견을 수렴해왔다. 논의 초반에는 사적모임 인원을 6인으로 유지하고 영업시간만 밤 12시로 1시간 늦추거나 영업시간을 두고 모임 인원을 8인으로 늘리는 소폭 조정안도 올랐지만 다수안에 밀린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지난 1월 말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우세종이 된 이후 거리두기를 조정하면서 지난달 중순부터 꾸준히 방역을 완화했다. 지난달 4일 '6인·오후 9시'를 유지했으나 같은 달 18일 유흥시설 등의 다중이용시설 운영시간을 오후 10시로 1시간 연장했다.
이런 가운데 이달 중순쯤 유행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으나 정부는 지난 1일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중단하고 4일 뒤인 5일부터는 영업시간을 오후 11시로 추가 완화했다. 이를 두고 4~5일, 9일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정치방역'을 한 것이라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정부는 지난 4일 거리두기 조기 완화를 발표할 당시 21일 이후 거리두기를 본격적으로 풀겠다는 뜻을 내비친 바 있다. 그러나 이번주 유행이 본격적으로 정점에 접어들고 하루 30만~62만명대의 확진자가 발생하자 거리두기 방향에 대해 줄곧 말을 아꼈다.
하루 55만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며 유행이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가 18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한다.
'사적모임 6인·영업시간 제한 오후 11시'를 골자로 한 현행 거리두기는 오는 20일 종료되며, 21일부터 새로운 거리두기가 적용된다.
정치권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열린 방역전략회의에서는 '8인·밤 12시'로 완화하는 방안과 '6인·오후 11시' 현행 체계를 유지하는 방안을 두고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 16~17일 서면으로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차원에서 서면으로 의견을 수렴해왔다. 논의 초반에는 사적모임 인원을 6인으로 유지하고 영업시간만 밤 12시로 1시간 늦추거나 영업시간을 두고 모임 인원을 8인으로 늘리는 소폭 조정안도 올랐지만 다수안에 밀린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지난 1월 말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우세종이 된 이후 거리두기를 조정하면서 지난달 중순부터 꾸준히 방역을 완화했다. 지난달 4일 '6인·오후 9시'를 유지했으나 같은 달 18일 유흥시설 등의 다중이용시설 운영시간을 오후 10시로 1시간 연장했다.
이런 가운데 이달 중순쯤 유행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으나 정부는 지난 1일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중단하고 4일 뒤인 5일부터는 영업시간을 오후 11시로 추가 완화했다. 이를 두고 4~5일, 9일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정치방역'을 한 것이라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정부는 지난 4일 거리두기 조기 완화를 발표할 당시 21일 이후 거리두기를 본격적으로 풀겠다는 뜻을 내비친 바 있다. 그러나 이번주 유행이 본격적으로 정점에 접어들고 하루 30만~62만명대의 확진자가 발생하자 거리두기 방향에 대해 줄곧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