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지난 1월 생산과 소비, 투자 지표가 일제히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른바 '트리플 감소'가 나타난데다 건설업과 경기흐름 지표까지 모두 악화하면서 경기 부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1월 생산과 소비 투자 지표가 일제히 감소, 이른바 '트리플 감소'가 나타났다. 자료=통계청
통계청이 4일 발표한 '1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전산업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1.2(2020년=100)로 전달보다 2.7% 감소했다.
지난 2020년 2월(-2.9%) 이후 4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2020년 2월은 우리나라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규모 발생하기 시작한 때다.
전산업 생산은 작년 11월 1.2% 줄었다가 12월(1.7%) 증가했지만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전월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수출 둔화 영향이 작용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광공업생산은 2.3% 감소했고 이 가운데 제조업은 2.4% 줄었다.
지난해 내내 이어진 내수 부진도 새해 회복되지 못하는 모습이다.
설 연휴에 이은 임시공휴일 지정도 효과가 미미해 보인다. 다만 정부는 부문별로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0.8% 감소했다.
긴 연휴로 숙박·음식업(1.4%), 예술·스포츠·여가(0.9%) 등 대면업종은 소폭 개선됐다.
그러나 수출입 감소 등 영향으로 도소매업(-4.0%), 운수·창고업(-3.8%)은 부진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12.6%),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17.5%)에서 투자가 모두 줄어 전달보다 14.2% 감소했다.
2020년 10월(-16.7%)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다.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자료=통계청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4포인트(p) 하락했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 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 대비 0.3p 떨어졌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1월 산업활동 주요 지표는 전반적으로 전월 증가한 기저효과와 조업일 축소 영향이 작용하는 가운데 건설업 부진이 지속되며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