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연세대, 창립 140주년 기념 공학 AI Plus 포럼 개최

김선영 기자 글로벌대학팀

기사입력 : 2025-03-13 11:47

[연세대 제공]
[연세대 제공]
[글로벌대학팀 김선영 기자] 연세대학교 공학인공지능연구소는 지난 12일,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연세대 창립 140주년 기념 공학 AI Plus 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인공지능(AI) 기술이 공학과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융합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으며, 학계와 산업계 관계자 약 300명이 참석했다.

포럼에서는 7개 주요 공학 분야에서 AI 기술을 적용한 최신 연구 성과가 발표됐다. 분야는 멀티미디어 및 시각, AI 칩, 소재 설계 및 스마트팩토리, 로봇과 자율주행, 의료·생명·바이오, 건축·건설환경, 통신·네트워크 등으로 다양하다. 이번 행사에서 연세대 공과대학의 인공지능 융합 연구 역량이 대내외에 소개되었고, 향후 산학 협력 확대의 가능성도 제시됐다.

손광훈 공학인공지능연구소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포럼은 단순한 연구 발표에 그치지 않고, AI 기술이 실제 산업 현장에 어떻게 구현될 수 있을지에 대해 함께 고민하며, 산학 협력의 접점을 넓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지식을 나누고 공학 AI의 미래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뜻깊은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포럼에서는 삼성전자 박민규 박사(MX사업부 카메라이노베이션 그룹)와 홍익대학교 유현준 교수(건축도시대학)가 키노트 강연을 맡아 큰 호응을 얻었다. 박민규 박사는 ‘Phone, Camera, and AI’를 주제로 최신 AI 기술 동향과 미래 발전 방향을 소개했고, 유현준 교수는 ‘AI와 건축과 도시’를 주제로 AI 기술이 건축 설계와 도시 계획에 미칠 혁신적 변화를 설명했다.

또한, 분야별 세션에서는 AI를 활용한 컴퓨터 비전, 신약 개발, 자율주행 및 스마트팩토리 구현 사례들이 발표되었고, 참석자들은 각 분야에서의 실제 연구 성과에 큰 관심을 보였다. 패널 토론에서는 ‘인공지능 시대에 찾아온 기회의 땅: 어떻게 공학 분야를 혁신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현대자동차 방재성 실장(차량제어개발센터)과 한화비전 임정은 소장(AI연구소)이 참여하여 AI의 윤리적 활용과 산업 적용 가능성,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이충용 연세대 공과대학 학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공과대학의 인공지능 연구 역량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었고, 향후 산학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며, “미래 인재 양성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기술 혁신에 연세대학교 공과대학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연세대 육종관 공학연구원장은 “모든 공과대학 구성원이 자유롭게 AI 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구축 중이며, 제4공학관에 곧 개소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선영 기자 글로벌대학팀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리스트바로가기

인기 기사

글로벌대학

글로벌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