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서울시는 한강벨트 등 시민 수요가 많은 지역에 오는 2031년까지 19만8000천호를 집중적으로 착공해 실질적인 집값 안정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9일 강남3구와 용산구에 지정된 토지거래허가지역을 추가로 지정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오세운 서울 시장은 또 강남3구와 용산구에 지정된 토지거래허지역을 "현재로선 추가로 지정할 계획을 없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29일 재개발 사업 등 정비사업 속도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기 위해 절차 간소화, 협의 검증 신속화, 이주 촉진 등을 내용으로 하는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 2.0'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신통기획은 민간 주도 개발에 공공이 초기부터 계획을 지원하는 정비사업 방식이다.
이날 신통기획 2.0 계획에 따르면 구역지정부터 입주까지 기간을 기존 18.5년에서 12년으로 최대 6.5년 단축하고, 2031년까지 한강벨트 19만8000호를 포함해 주택 총 31만호를 착공한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2031년까지 31만호를 착공, 2035년까지 37만호를 공급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자료=서울시
전체 착공물량의 63.8%가 인기 지역인 한강벨트에 집중해 개발한다는 얘기다.
시는 신통기획에 더해 정비지수제 폐지, 사업성 보정계수 적용, 정비사업 촉진 방안 등 제도 개선으로 정비사업 기간을 총 5.5년 단축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
오 시장은 "공공의 역할은 불필요한 규제를 없애거나 간소화해 민간이 주택을 빠르게 공급하게 하는 것"이라며 "신통기획 시즌 2의 핵심 내용은 정비사업 과정에서 병목 현상으로 불리우는 인허가 구간에 대한 규제를 대대적으로 혁신해 기간을 1년 더 단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각종 절차를 폐지·간소화한다.
통합심의 전 진행하던 환경영향평가 초안검토 회의를 생략해 2개월 이상 걸리는 심의 기간을 줄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