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 섬유복합체·진동 분산시스템 적용… 비용 절감 및 CO₂저감 효과
DL건설 “ESG 경영 강화해 지속가능한 건설현장 구현할 것”
[비욘드포스트 이종균 기자] DL건설이 친환경과 경제성을 동시에 갖춘 숏크리트(Shotcrete) 신기술을 선보였다. 이번 기술은 콘크리트 분사 시 발생하는 재료 손실률을 대폭 줄이고, 탄소 배출 저감 효과까지 거둘 수 있는 혁신적 공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DL건설은 24일 헬릭스(Helix) 구조의 PET 섬유복합체와 진동 분산시스템을 적용한 터널용 숏크리트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은 유니온물산, 동해종합기술공사와 공동으로 개발됐으며, 시공성·내구성·경제성·친환경성 측면에서 모두 개선된 것이 특징이다.
DL건설 숏크리트 공법 건설신기술 관련 사진./DL건설
숏크리트는 콘크리트를 압축공기와 함께 분사하는 시공 방식으로, 터널이나 지하 구조물 보강에 주로 사용된다. 다만 기존 공법은 재료가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튕겨나오는 ‘리바운드(Rebound)’ 현상으로 인한 자재 낭비와 비용 손실이 문제로 지적돼왔다.
DL건설이 이번에 개발한 PET 섬유복합체는 기존 강섬유보다 비중이 높아 물에 뜨지 않으며, 진동 분산시스템을 통해 콘크리트와 균일하게 혼합된다. 이로 인해 재료의 뭉침 현상이 최소화되고 분사 효율이 향상됐다.
회사는 “해당 기술을 적용하면 리바운드율을 약 49.6% 줄이고, 콘크리트 생산 비용은 약 18.6%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DL건설은 이번 기술을 통해 친환경 효과도 동시에 실현했다. 재료 손실 감소로 인한 폐기물 처리비 절감은 물론, 폐 PET 소재를 재활용함으로써 CO₂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DL건설 숏크리트 공법 건설신기술 관련 사진./DL건설
기존 강섬유는 수분에 의한 부식 문제가 있어 해수구간 시공 시 내구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지만, 이번 PET 섬유복합체는 부식 우려가 없어 습윤 환경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
DL건설은 이 신기술을 인덕원~동탄 10공구와 옥정~포천 2공구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현장 적용을 통해 기술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검증하고, 향후 전국 주요 터널 공사로 확대할 방침이다.
DL건설 관계자는 “품질과 경제성을 확보하면서도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강화한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건설기술 개발을 통해 ESG 경영을 실천하고, 친환경 건설현장의 표준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