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한국과 미국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경주에서 양국간 정상회담을 계기로 첨단 과학기술 분야 협정을 맺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과 미국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인공지능, 양자컴퓨터, 6G등을 망라한 첨단 과학기술분야에서 협력하는 내용의 협정을 맺을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진=블룸버그통신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은 인공지능(AI), 양자컴퓨터, 우주, 6세대 이동통신(6G) 등을 망라한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서 협력한다는 내용의 협정을 맺을 것이라고 보도했디. 29일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에 맞춰 체결될 예정이다. 미국 측에서는 마이클 크라치오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이 서명에 나선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협정에는 한미 양국이 AI에 대한 수출 통제를 강화하고, 테크 기업들의 규제 부담을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이 담긴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서 데이터를 보다 쉽게 저장하고 활용하는 방식으로 협력을 도모한다는 내용이다.
생명공학과 제약 분야의 공급망을 개선하고, 연구 보안을 강화하며, 양자 기술의 발전을 보호하고, 우주 및 6G 기술을 포함한 협력 관계를 촉진하는것을 협정의 목표로 삼는다.
이번 협정은 첨단 산업 분야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 빠른 속도로 경쟁력을 쌓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는 포석으로 보인다.
크라치오스 실장은 성명에서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과 같은 동맹국들과의 상호 협력적 파트너십을 추진함으로써 미국의 기술적 리더십을 재정의하고 있다”며 “각각의 ‘기술 번영 협정’은 과학적 발견을 가속하고, 미국과 파트너들의 주도 아래 세계를 혁신의 새 시대로 이끄는 훌륭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추진 중인 협정의 의의를 밝혔다.
블룸버그는 이번에 한미가 체결하게 될 협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일본 방문 기간 맺은 협정, 그리고 지난달 영국과 맺은 협정에 이은 것이라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는 첨단산업의 핵심 물질인 희토류 및 중요 광물의 공급·확보에 관한 문서에도 서명했다. 이 역시 희토류에 대한 중국의 수출 통제에 대응하는 조처로, 대(對) 중국 협력전선을 구축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