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인수위원회 제공)[비욘드포스트 진병두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실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키로 한 것에 대해 지역의 호재일지 악재일지를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윤 당선인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5월10일 취임식 후 용산 국방부 청사에 입주할 계획을 직접 발표했다.
윤 당선인은 "용산 지역은 이미 군사시설 보호를 전제로 개발이 진행돼 왔으며 청와대가 이전하더라도 추가적인 규제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초고층 건물 건립을 추진 중인 인근 한강변 재개발·재건축이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의 무산·변경 가능성은 낮아졌다. 특히 국방부와 인접한 도시환경정비사업 추진 지역 주민들이 우려하는 고도 제한 등에 따른 개발 지연 우려도 상당 부분 해소됐다.
다만 주민들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두고 갑작스럽게 이전 계획이 발표된 데다 이를 반영할 사례도 마땅치 않아 여전히 혼란스러운 모습이다.
용산의 한 공인중개사는 "청와대의 용산 시대 개막으로 미군 기지의 반환이 빨라지고, 인근 국제업무지구·캠프킴 부지·용산가족공원의 사업도 속도가 붙을 수밖에 없다"며 "중장기적으로 용산 집값에 악재보다는 호재가 많다"고 말했다.
국내 부동산 인터넷 카페 한 회원은 "용산가족공원이 미국 뉴욕의 센트럴파크처럼 개발되면 용산 집값은 폭등 열차를 타게 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실제 대통령실 이전 과정과 이후 운영 과정에서 부분적으로나마 추가 규제가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도 있다.
경호 문제에 따른 교통 체증, 빈번한 집회·시위 등으로 오히려 혼잡이 가중되며 지역 부동산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용산 한강로동 한 공인중개사 대표는 "한강로 주변은 평소에도 교통 혼잡한 곳인데 대통령 이동으로 자주 통제가 이뤄진다면 혼잡은 더 극심해질 것"이라며 "여기에 집회·시위 부대까지 몰려오면 교통 체증이 더 심화되는 것은 불 보듯 뻔하다"고 걱정했다.
부동산 카페의 또 다른 회원은 "용산으로 대통령 관저와 집무실이 옮겨지면 그 주위의 집값은 내려갈 가능성이 커진다"면서 "미국 백악관 근처의 집값은 매우 저렴하다. 삶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부자들은 절대 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용산구 맘카페 한 회원은 "당연히 악제 아니냐"면서 "대통령 관저와 집무실이 옮겨지면 그 주위의 집값은 내려갈 가능성이 커진다. 미국 백악관 부근 집값이 저렴하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을 두고 엇갈린 분석이 나온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대통령의 안위를 위한 통제 규제를 최소한 하더라도 주변 지역에 끼칠 제약에 영향이 없을 수는 없다"며 "용산 주민이 누려야 할 가치의 상당 부분을 제한받으면서 집값이 하방 압력을 받을 여지가 있다"고 내다봤다.
김학렬 스마트튜브 부동산조사연구소장은 "현재 국방부 주변의 칙칙하고 낙후된 상가·건물이 나름의 품격과 문화를 유지하면서도 정비가 빨라질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부동산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한편 부동산빅데이터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대통령실 이전 계획를 발표한 하루만인 이날 기준 아파트 매물 증가율은 종로구가 -0.7%로 1위로 올랐다. 용산구 아파트 매물도 -1.7% 소폭 늘었다.
postpr1@beyondpo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