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동차의 전자화와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자동차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데이터 확보는 사고조사 및 범죄 규명에 중요한 연구분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국내에 디지털 포렌식과 사이버 보안을 함께 연구하는 연구 기관은 전무했다.
단국대 자동차 디지털 포렌식 보안 리빙랩 개소식에서 참석자들이 테이프를 끊고 있다.(사진=단국대)
자동차 사이버 포렌식 보안 리빙랩은 5G, 자율주행, 커넥티드카 시대에 도래할 첨단 자동차 교통사고 조사부터 범죄 수사에 사용될 최신 기술을 연구한다.
리빙랩은 자율주행 가상환경을 기반으로 ▲실내 주행 시스템 ▲위치정보 동기화 시스템 ▲충돌 모사 시스템 ▲이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및 수집 시스템 등의 핵심 요소기술을 결합해 자동차 디지털 포렌식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 나간다.
이를 통해 ▲자동차 디지털 포렌식 및 사이버보안 기술 분야 원천기술 확보 ▲국가 기술 경쟁력 증대 및 국제 시장 점유율 확대 ▲자동차 디지털 포렌식 전문인력 양성 등을 추진하게 된다.
안순철 총장은 “자동차 디지털 포렌식 및 사이버보안 기술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단국대가 자동차 디지털 포렌식 및 사이버보안 기술 선도대학으로의 위상을 정립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과기부 산하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정보보호핵심원천기술사업으로 진행된다. 사업은 단국대 소프트웨어학과 우사무엘 교수가 ‘이벤트 기반 실험시스템 구축을 통한 자동차 내‧외부 아티팩트 수집 및 통합 분석 기술 개발’을 주제로 주도해 왔다. 3년간 35억원의 국비가 투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