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 증가와 함께 목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특히 장시간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직장인과 학생들 사이에서 '거북목 증후군'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를 단순한 피로감으로 치부하기 쉽지만, 방치할 경우 만성 통증과 척추 건강 악화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거북목 증후군은 목뼈가 정상적인 C자 곡선을 유지하지 못하고 머리가 앞으로 쏠리는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스마트폰 사용, 컴퓨터 작업 시 잘못된 자세, 장시간 앉아 있는 습관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주요 증상으로는 목과 어깨의 뻐근함, 두통, 어지러움, 팔 저림 등이 나타난다. 초기에는 가벼운 불편함으로 시작되지만, 점차 목 움직임 시 통증이 발생하고 뒷목과 어깨 부위의 뻣뻣함이 심해진다. 심한 경우 척추 신경 압박으로 팔과 손 저림, 잦은 두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가자연세병원 김포점 전병호 병원장은 "거북목 증후군은 잘못된 자세에서 비롯되며, 젊은 층도 안심할 수 없다. 방치 시 목디스크로 발전하고 신체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지만, 초기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충분히 호전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거북목 증후군 예방 및 완화를 위해서는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틈틈이 스트레칭을 통해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에는 치료사가 손이나 도구를 이용해 틀어진 척추 정렬을 바로잡는 도수치료가 효과적이다. 도수치료는 절개나 마취 없이 진행되어 부담이 적고, 부작용 위험이 낮아 다양한 연령층에 적용 가능한 안전한 치료법이다.
전 병원장은 "도수치료는 경추 정렬 개선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지만, 일상생활 속 자세 교정과 함께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 시 고개를 지나치게 숙이거나 내미는 습관을 피하고, 경추에 무리를 주지 않는 높이의 베개를 사용하는 등 올바른 생활습관 관리를 꾸준히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