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대학팀 김선영 기자] 우석대학교 ESG국가정책연구소가 전북특별자치도 내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정보 접근성 부족과 인력·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ESG 경영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SG국가정책연구소는 전북특별자치도경제통상진흥원과 전주상공회의소의 지원을 받아 지난 4월 1일부터 20일까지 도내 기업 44개사를 대상으로 ESG 경영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 중 77.3%는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기업 규모는 중소기업이 77.3%, 소기업 및 스타트업이 18.2%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은 연 매출 50억 원 이하였으며, 자금 여력이 제한된 상황에서 ESG 대응이 어려운 구조로 평가됐다.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31.8%에 불과했다. 27.3%는 일부 요소만 도입하고 있었고, 18.2%는 정보 부족을 이유로 ‘ESG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ESG 전담 부서를 보유한 기업은 전체 44개사 중 단 2곳(4.5%)에 그쳤으며, 대부분은 기존 부서에서 겸임하거나 담당자가 없는 상태였다.
ISO 인증 보유율은 비교적 높았으나, ESG 통합 인증을 받은 기업은 11.4%에 불과해 인증 체계 측면에서도 확장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외부 기관으로부터 ESG 관련 지원을 받은 기업은 59.1%였으나, 여전히 많은 기업이 외부 자원의 활용에 소극적인 상황이었다.
기업들이 ESG 추진의 주요 장애 요인으로 꼽은 문제점은 △정보 부족(63.6%) △전문 인력 및 조직 부재(50%) △초기 투자 비용 부담(45.5%) 등이었다. 이에 따라 필요한 정책 과제로는 △ESG 교육 및 컨설팅 지원(61.4%) △세제 및 금융 지원(52.3%) △공시 및 인증 획득 지원(43.2%) 등이 제시됐다.
세부 항목별로는 탄소중립 목표를 명확히 설정한 기업은 18.2%에 불과했고, 59.1%는 관심은 있지만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사회적 책임 부문에서는 근로환경 개선(81.8%)과 지역사회 공헌(52.3%) 실천 의지는 높았으나, 협력사 ESG 지원 프로그램 운영 비율은 4.5%로 낮았다.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65.9%)과 윤리경영(47.7%)은 절반 이상이 실천하고 있었지만, 이사회 독립성 강화를 실현한 기업은 단 2곳(4.5%)에 그쳤다.
지용승 ESG국가정책연구소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도내 기업들이 ESG 경영을 실천하는 데 있어 정보 부족과 인력 부재 등 구조적인 한계에 직면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우리 연구소는 체계적인 연구와 실태조사는 물론, 교육·컨설팅·정책 제안 등을 통해 지역 기업들의 ESG 경영이 실질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