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대학팀 김선영 기자] 중앙대학교가 국가정보원과 손잡고 가상자산 기반 사이버 위협 대응을 위한 공동 연구에 나선다. 중앙대는 지난 21일 국가정보원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서 가상자산 분야 등 디지털 금융산업 전반의 사이버안보 강화를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박상규 중앙대 총장과 윤오준 국가정보원 3차장 등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특히 가상자산을 악용한 사이버 공격이 경제적 피해를 넘어 국가 안보에도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정부와 학계 간 협력 모델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양측은 협약을 통해 가상자산 추적 및 분석 기술 공동연구, 전담 연구조직 설치와 운영, 보안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학술 및 인적 교류 확대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공동연구소 설립도 계획 중이며, 가상자산 탈취 대응 기술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연구 성과 창출과 특화 인재 양성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상규 총장은 “최근 가상자산을 매개로 한 사이버 위협은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닌 국가 안보의 핵심 과제가 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중앙대는 산업보안학과와 융합보안학과를 기반으로 디지털금융보안 및 데이터프라이버시 분야에서 정부 연구지원사업에 지속 선정되어 온 만큼,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경제안보를 선도하는 관학 협력 모델을 구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오준 3차장은 “북한 등에서 시도되는 가상자산 탈취 시도가 점차 고도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중앙대와의 협력은 국가 사이버안보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는 계기”라고 설명하며, “앞으로도 선제적 기술 확보와 보안 전문 인재 양성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