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HOME  >  생활경제

10월 25일부터 실손보험 청구 정산화 9만6천곳 의료기관 약국으로 확대 시행

이성구 전문위원 | 입력 : 2025-08-07 14:52

금융위원회, 네이비지도나 카카오맴에서 '실손24' 검색하면 이용 가능 병원 약국 표시

[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가 오는 10월 25일부터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 약 9만6000곳으로 확대 시행된다.

 네이버지도와 카카오맵에서 '실손24'를 검색하면 이용 가능한 병원 약국이 표시된다. 자료=금융위원회
네이버지도와 카카오맵에서 '실손24'를 검색하면 이용 가능한 병원 약국이 표시된다. 자료=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는 7일 금융감독원, 보험개발원, 생·손보협회 등과 유관기관 점검회의를 열고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시스템인 '실손 24' 참여 및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는 작년 10월 25일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1단계)를 대상으로 우선 시행됐으며, 올해 10월 25일부터는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2단계)까지 참여 대상이 늘어난다.

지난 5일 현재 총 6757개 요양기관(병원 1045개·보건소 3564개·의원 861개·약국 1287개)이 참여하고 있으며, 1단계 참여율은 약 59.1%이다.

2단계 시행 대상인 의원·약국 중에도 선제적인 참여를 독려 중인데, 2단계 참여율은 약 2.2%다.

금융당국과 유관기관은 전산화 참여 확대를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 중이다.

참여 병원을 소비자가 손쉽게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 플랫폼과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미참여 요양기관에 소비자가 참여를 요청하는 기능도 신설했다.

보험업계 등은 청구 전산화 참여 요양기관 및 EMR(전자의무기록처리) 업체에 서버비, 시스템 개발비, 인센티브 성격의 확산비, 유지보수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금융위는 국민과 의료계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오는 11일부터 '실손24' 대국민 홍보도 한다.

'실손24'를 통한 보험금 청구 시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지급하는 이벤트, 참여 요양기관 및 EMR에 대한 정책금융기관의 보증료와 화재보험 등의 보험료 감면,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의료행정과의 연계 방안 모색 등 다양한 활성화 방안도 검토·추진하기로 했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생활경제 리스트 바로가기

인기 기사

최신 기사

대학뉴스

글로벌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