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HOME  >  생활경제

상계 중계 하계동 10만3천세대 자족도시로 탈바꿈...서울시, 재건축 정비안 수정 가결

이성구 전문위원 | 입력 : 2025-09-11 10:28

주거 중심에서 일자리 주거 문화가 어우러진 자족도시로...첫 마스터플랜 제시

[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서울 노원구 상계·중계·하계동 일대의 재건축 정비안이 수정 가결됐다. 재건축이 되면 현재 7만6000세대에서 10만3000세대의 자족도시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노원구 상계 중계 하계동 재건축 정비안 종합구상도. 자료=서울시
노원구 상계 중계 하계동 재건축 정비안 종합구상도. 자료=서울시

서울시는 제15차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상계(1·2단계), 중계, 중계2 택지개발지구 지구단위계획구역 재정비(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재정비 개정안은 이 일대의 첫 마스터플랜으로, 주거 기능만을 담당하던 노후한 '베드타운'에서 일자리·주거·문화가 어우러진 10만세대 규모의 자족도시로 탈바꿈시킨다는 계획이다.

계획안에는 창동차량기지 일대 개발 등 공간적 여건 변화와 사회·경제환경 변화를 고려한 기본적 개발 방향과 가이드라인이 담겼다.

이대로 재건축되면 현재 7만6000세대로 구성된 상계(1·2단계), 중계, 중계2 지구는 10만3000세대의 동북권 중심도시로 거듭나게 된다.

 서울시는 상계 중계 하계동 마스터플랜을 선보이며 주거 중심에서 일자리 주거 문화가 어우러진 자족도시로 탈바꿈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시는 상계 중계 하계동 마스터플랜을 선보이며 주거 중심에서 일자리 주거 문화가 어우러진 자족도시로 탈바꿈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용도지역 상향을 통한 역세권 중심의 복합개발로 사업성을 높이고 자족 기능을 강화하고자 '복합정비' 개념을 도입했다.

복합정비구역으로 지정하면 단순 주거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복합용도를 수용함으로써 역세권 기능을 강화하고, 일자리·주거·문화가 어우러진 고밀 복합개발이 가능해진다.

또한 산과 수변이 어우러진 녹지생태도시 조성을 위해 중랑천과 수락·불암산을 연결하는 보행·녹지네트워크를 구축한다. 기존에 형성된 단지 내 소규모 분산된 공원은 접근성과 연계성을 강화하도록 재배치한다.

열린 경관 확보를 위해 지역 내 주요 간선도로변에 4개의 광역통경축을, 20m 공공보행통로에 3개의 지구통경축을 각각 설정했다.

공공보행통로와 연계한 키움센터, 체육시설, 개방형 커뮤니티시설 등 생활 서비스시설을 도보 10분(반경 500m)마다 계획했다.

아울러 수변으로 열린 특화 디자인을 도입해 중랑천과 조화로운 경관 형성을 유도한다. 제3종일반주거지역은 150m, 복합정비구역은 180m 수준으로 높이를 설정했다.

시는 이르면 11월 재열람 공고 이후 연내 지구단위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생활경제 리스트 바로가기

인기 기사

최신 기사

대학뉴스

글로벌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