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신용승 기자] 국가철도공단은 30일부터 31일까지 제주 메종글래드 호텔에서 열리는 ‘2025 한국철도학회 추계학술대회’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철도학회가 주최하며 국토교통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 철도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철도산업 발전 방향과 기술 교류를 논의하는 자리다.
공단은 독립 전시 부스 운영을 통해 한국형 철도혁신 연구개발 성과 10건을 선보인다.
특히, 철도 건설사업 탄소중립 실현 극대화 및 철근대체재로 각광받는 ‘철도구조물 유리섬유보강근(GFRP) 확대 방안’, 기존 터널공법(NATM, TBM)의 소음·진동·고비용 등의 문제를 극복하고 글로벌 건설시장 진출을 이끌 기술로 주목받는 ‘고출력 레이저 터널 굴착’ 연구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공단은 ▲공공기관 디지털 전환 ▲철도 유지관리 단계 BIM 적용연구 성과 및 활용 방안 등 특별 세션을 개최하여 AI와 디지털전환 등 철도의 새로운 비전과 발전 방향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25 철도 10대 기술상’ 소개 세션에서는 공단이 수상한 ‘mmWave 레이더와 MEMS 가속도계 융합기반 철도 교량 변위·가속도 정밀 계측 무선센서’를 소개하며, 국내 철도 연구 역량을 널리 알릴 계획이다.
mmWave 레이더는 30~300GHz(밀리미터파 대역) 전자파를 이용해 물체의 거리·속도·각도를 정밀하게 감지하는 센서 기술이다.
MEMS 가속도계는 물체의 가속도(진동, 충격, 기울기 변화 등)를 신호로 변환해 측정하고, 무선센서는 밀리미터 레이더(FMCW Radar)와 MEMS 가속도계를 융합해, 철도 교량의 변위와 가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무선 스마트 센서다.
이성해 국가철도공단 이사장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공단의 기술 역량을 대외적으로 알리고, 국내·외 기술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며 “철도 융복합 기술개발로 철도 미래 기술혁신을 선도하며 빠르고 안전한 철도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