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강기성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충격으로 올1분기 한국경제 성장률이 –1.4%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5일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 통계에서 전기대비 1분기 성장률이 이같이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금융위기를 겪던 2008년 4분기(-3.3%) 이후 11년 3개월만에 가잔 낮은 수치다.
국내 감염병 확산이 2월부터 본격화하면서 민간소비와 서비스업 생산이 1998년 외환위기 때의 충격을 받은 결과다.
1분기 민간소비는 전기대비 6.4% 감소했다. 감소율은 외환위기 시기인 1998년 1분기(-13.8%) 이후 가장 컸다. 민간소비는 GDP의 절반을 차지하는 항목으로 통상적으로 분기별 변화폭이 크지 않다. 1분기 민간소비는 전제 실질 GDP를 3.1%포인트 끌어내렸다.
소비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은 코로나19 사태에도 비교적 선방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가 늘어 0.2% 증가했고,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1.3% 늘었다.
정부소비도 물건비 지출을 중심으로 0.9%증가했다. 정부소비는 작년 4분기 증가율이 2.5%에 달해 올해 1분기엔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지만, 정부가 예산을 조기집행하면서 영향을 받았다.
수출은 2% 줄어 코로나19발 충격이 민간소비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덜했다.
자동차, 기계류, 화학제품 수출은 감소했지만, 반도체수출이 호조를 지속한 게 이를 상쇄했다.
생산 측면에서보면 서비스업이 2.0% 감소했다. 이는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분기(-6.2%)도 코로나19의 충격을 그대로 받았다.
제조업은 운송장비 및 1차 금속제품이 감소했으나 반도체 부문의 증가가 이를 상쇄해 전체적으론 1.8%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