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우리 몸의 관절은 나이가 들수록 연골이 닳으면서 그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무릎관절은 체중을 온전히 지탱하면서 걷거나 뛰는 움직임이 많기 때문에 노화에 따른 퇴행성 관절염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연골이 손상되고 닳아 없어져 관절뼈와 뼈가 부딪쳐 염증 및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통증이 심해 움직이는 것을 꺼려하게 되고 신체 활동량이 줄어들면 전신 건강도 나빠질 수 있어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만약 말기까지 진행된 경우라면 손상된 관절을 깎아내고 인공관절로 치환해주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손상 부위와 진행상태에 따라 방법은 달라질 수 있지만, 통증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때문에 수술 후 만족도가 높다.
다만 무릎 변형이 심할수록 정교한 수술이 필요하다. 개인마다 무릎뼈의 크기, 생김새, 손상도 등이 다르기 때문에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맞춤형 치료가 요구되는 바이다. 이에 최근에는 큐비스 조인트 등 수술 로봇으로 진행하는 게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
이는 로봇이 촬영한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을 토대로 뼈의 절삭범위와 인공관절의 삽입위치 등을 미리 계산해 결과를 예측해볼 수 있다. 무릎뼈를 오차 없이 절삭하고, 엉덩이·무릎·발목으로 이어지는 중심축을 맞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
또 절개 부위도 작아 출혈이 적고, 통증이 덜 해 일상 복귀에 걸리는 시간이 짧은 편이다. 체력이 약한 고령층이나 만성질환자, 골다공증 등으로 뼈가 약한 경우에도 부담을 낮출 수 있다. 여러 번의 가상 수술로 가장 적합한 인공관절을 선택하면 된다.
더불어 최근 국내 인공관절 수요 증가와 함께 한국인 체형에 맞는 무릎 인공관절들이 등장하면서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그중 인공관절 b.r.q Knee(Bending, Rotating and Quantum leap Knee)은 좌식 생활에 익숙한 한국인은 무릎 안쪽이 더 많이 닳는다는 점을 반영한 디자인이다.
분당 서울나우병원 류호광 로봇인공관절 센터장은 “무릎 관절은 구조가 복잡해 인공관절 수술에서 오차를 최대한 줄여야 만족도가 높아진다"며 "수술이 잘 됐어도 재활에 소홀하면 무릎이 뻣뻣하게 굳을 수 있어 초기 회복에 신경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