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는 대한제강과 손잡고 합작법인 ‘아이모스(Aimos)’를 설립했다고 2일 밝혔다. 사진은 (좌측부터)LG CNS 현신균 대표, Aimos 김범석 대표, 대한제강 오치훈 사장이 합작법인 출범 기념 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사진 = LG CNS 제공)
[비욘드포스트 한나라 기자] LG CNS는 대한제강과 손잡고 합작법인 ‘아이모스(Aimos)’를 설립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 달 30일 부산시 대한제강 본사에서 진행된 합작법인 출범 기념식에는 대한제강 오치훈 사장, LG CNS 현신균 대표, 아이모스 김범석 대표 등이 참석했다.
아이모스는 이날 기념식에서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소개했다.
‘철스크랩’은 철과 스크랩의 합성어로 고철, 쇠 부스러기 등을 말한다.
철스크랩을 활용하는 ‘전기로’ 방식은 석탄을 사용하는 용광로(고로) 방식 대비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아이모스의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은 △도금과 도색이 안된 파이프 등 가공하지 않은 고품질의 ‘생철’ △대형기계 해체물과 같이 부피가 크고 무거운 ‘중량’ △자전거, 농기구 등 생활고철로 대표되는 ‘경량’ 등 한국산업표준에 맞춰 철스크랩 등급을 구분한다고 설명했다.
철스크랩의 등급에 따라 가공·정제 과정이 달라지게 되며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SaaS 형태다.
LG CNS와 대한제강은 협력을 거쳐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을 상용화했으며, 대한제강 현장에도 적용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이 AI 비전 카메라를 통해 화물차에 적재된 수백 개 이상의 철스크랩을 모두 식별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 철근, 잔고철 등 크기와 부피가 작은 품목도 인식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대한제강은 수십만 개 철스크랩의 △이미지 △품목 △품목별 철의 비율 △등급 등의 데이터를 집대성했다고 강조했다.
LG CNS는 대한제강이 축적한 정보를 AI에 학습시켜 철스크랩의 등급을 판별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아이모스는 향후 국내 철스크랩 유통사인 ‘에스피네이처’와 협력해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을 더욱 고도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한제강 오치훈 사장은 “철스크랩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자원 선순환 구조를 확산하고, ESG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가속화하겠다”라고 말했다.
LG CNS 현신균 대표는 “철강업계가 친환경 생산체계 구축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대한제강과 함께 ‘아이모스’의 DX기술력을 지속 발전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