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김민혁 기자] 오늘날 금융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지만, 그 근간을 이루는 ‘신뢰’는 여전히 취약한 기반 위에 놓여 있다. 뉴럴 트러스트 재단(Neural Trust Foundation)은 바로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출발한다. 미국과 한국의 팀이 공동 설립된 뉴럴 트러스트 재단은 기술 자체보다 더 근본적인 요소인 구조에 주목하며, 신뢰 중심의 분산 금융 생태계를 설계하고자 한다. 기술, 구조, 실행 전략을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묶어내는 이 재단은 단순한 연구 조직이나 플랫폼이 아니라, 전략 실행까지 포괄하는 실질적인 실행 기관으로 자리 잡고 있다.
뉴럴 트러스트 재단의 핵심 비전은 "기술이 아니라 구조로 신뢰를 만든다"는 것이다. 이러한 철학은 재단이 주도하는 대표 프로젝트 루민트(LUMINT)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기술만이 아니라 정책, 마케팅, 유동성 전략까지 재단 내부에서 직접 설계하고 실행한다는 점이다. 기술이 실제로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구조뿐 아니라 실행 전략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판단 아래, 뉴럴 트러스트 재단은 외부 의존적 방식이 아닌 자립형 전략 운영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재단의 비전과 구조적 접근을 실질적으로 설계하고 구현하고 있는 핵심 인물 중 한 명이 바로 이종권 (Joseph Lee)대표. KAIST 전자전산학 박사 출신으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금융 시스템을 오랫동안 연구해온 그는 기술이 사람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위한 구조를 만드는 수단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현재 이종권 대표는 루민트 프로젝트의 스마트 마이닝 시스템을 총괄하고 있으며, AI 알고리즘과 보상 구조를 결합한 참여형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현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단순히 효율적인 채굴을 넘어, AI와 구조 설계, 그리고 신뢰라는 개념이 실제 금융 생태계 안에서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를 실험하는 장이기도 하다. 루민트는 기술적 시도에 머물지 않고, 실질적인 사회·경제적 구조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는 중이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한 이재성 대표 또한 재단의 핵심 인물이다. 이재성 (Jayden)대표는 어울림병원 이사장을 지내며 실물 의료 시스템의 운영 복잡성을 몸소 경험했고, DAS Academy의 교육 체계 설계자로 참여하며 사람 중심의 구조 설계를 고민해왔다. 이후 혁신금융서비스협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며 디지털 자산과 제도적 정합성에 대한 전략을 구축했다.
“혁신은 기술이 아니라, 구조와 사람의 상호작용으로 완성된다”는 이재성 대표의 철학은 루민트 프로젝트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블록체인의 탈중앙성과 제도 기반의 신뢰를 동시에 설계하는 구조는, 현재 디지털 금융 시스템이 마주한 가장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실질적 해법 중 하나다.
뉴럴 트러스트 재단은 앞으로 루민트를 기반으로 실물 자산을 디지털화하는 RWA(Real World Assets) 생태계로의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부동산, 저작권, 기업 지분 등 현실 세계의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 토큰으로 전환하고, 여기에 AI 기반 가치 평가 시스템과 DePIN(탈중앙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 구조를 결합해 실시간 수익성과 연결된 분산 투자 모델을 구현하려는 계획이다.
뉴럴 트러스트 재단은 예측 가능한 기술이 아니라, 이해 가능한 구조를 만드는 일에 집중한다. 기술이 아닌 구조, 추측이 아닌 설계, 속도가 아닌 신뢰를 중심에 둔 이들의 실험은 새로운 금융 생태계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기존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가고 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