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대학팀 김선영 기자] 전국의 전·현직 국가거점국립대 총장들과 교육감들이 공동으로 제안한 (가칭)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이 차기 정부의 국가 균형발전 전략으로 본격 검토될 전망이다.
양오봉 전북대 총장, 조희연 전 서울시교육감, 차정인 전 부산대 총장은 지난 20일 이한주 민주연구원장을 만나 이 구상을 공식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 정책은 전국 9개 권역의 거점국립대학을 서울대 수준의 교육과 연구 중심 대학으로 육성하고, 서울대와의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를 통해 미국의 캘리포니아대학(UC) 시스템과 유사한 연합형 대학 체제를 국내에 도입하겠다는 구상이다. 수도권 중심의 대학 서열화와 입시 과열 문제를 완화하고, 지역 우수 인재가 지역에서 교육과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이날 전달식에서 이한주 민주연구원장은 “국가 균형발전과 지방 살리기의 일환으로 제안해 주신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혀, 정책 채택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정책이 차기 정부의 국가 전략으로 채택되도록 정치권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며, “이를 통해 지역균형발전이 가속화되고 국가 전반의 경쟁력 제고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정책 제안은 같은 날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먼저 공개됐으며, 전·현직 거점국립대 총장들과 교육감들이 정책의 필요성을 설명한 뒤 민주연구원에 직접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