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미국 상무부는 미국 연방정부의 반도체 보조금을 받는 댓가로 반도체기업들의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같은 방침이 트럼프 행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을 결정될 경우 그동안 논란을 일으켰던 삼성전자를 비롯해 대만 TSMC 마이크론 등 반도체기업들의 지분 인수는 사실상 일획성 해프닝으로 끝날 수도 있을 전망이다.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행정부의 한 관계자가 "상무부는 TSMC와 마이크론의 지분 확보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상무부가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대만 TSMC 같은 기업들의 지분을 보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면서 하지만 투자 약속을 늘리지 않고 있는 기업들은 보조금을 받는 대가로 지분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WSJ는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을 받는 기업들에 미국 내 총투자를 늘리도록 요청해왔으며, 이를 통해 미국 납세자들에게 더 유리한 조건을 협상하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기인 지난해 12월 미 상무부는 반도체법에 따라 TSMC 66억달러(약 9조2000억원), 마이크론 62억달러(약 8조6000억원), 삼성전자 47억5000만달러(6조6000억원) 등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하는 계약을 해당 기업들과 맺었다.
보조금은 제조시설 등 이들 기업이 약속한 미국 내 투자 프로젝트의 규모에 따라 정해졌고, 보조금 집행은 프로젝트 이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급되는 구조다.
이들 기업 중 TSMC와 마이크론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추가 대미 투자를 약속했다.
웨이저자 TSMC 회장(오른쪽)은 지난3월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한 뒤 미국에 1000억달러를 추가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사진=로이터통신, 연합뉴스
지난 3월 웨이저자 TSMC 회장은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한 뒤 미국에 1000억달러(약 146조원)를 추가 투자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마이크론도 지난해 말 발표한 계획보다 대미 투자를 늘리기로 했다고 지난 6월 발표했다.
한편 TSMC 경영진은 미국 행정부가 보조금 대가로 주주로서 참여를 요구할 경우 보조금을 반환하는 방안에 대해 예비적 논의를 했다고 익명의 소식통들이 전했다.
TSMC는 대미 투자에서 미국 정부의 보조금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