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크레인 핵심 부품 와이어로프 정밀 관리…실시간 결함 감지
현장 실무형 교육 확대…예방 중심 안전문화 확산 나서
[비욘드포스트 이종균 기자] 한화 건설부문이 타워크레인과 리프트 등 건설기계 핵심 부품 관리 강화를 위해 AI 기반 와이어로프 스마트 진단 장비를 도입하고, 전담 인력 교육을 확대하며 안전관리 체계 고도화에 나섰다.
한화 건설부문은 건설기계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대책을 15일 발표했다. 회사는 낙하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와이어로프 스마트 안전진단 장비를 현장에 도입하고, 전담 인력 교육을 정례화해 안전 수준을 끌어올리고 있다고 밝혔다.
한화 건설부문이 스마트 안전진단 장비를 활용해 와이어로프를 점검하고 있다./한화
이번에 도입된 ‘WSS(Wirerope Safety Solution)’는 국내 IoT 기업 엔키아가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장비다. 와이어로프에 간단히 부착해 사용할 수 있으며, 내장 센서를 통해 자기장을 측정해 외부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내부 단선까지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장비는 결함을 △주의 △이상 △경고 단계로 구분해 즉각적인 현장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검사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모니터링 대시보드를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현장 안전성을 크게 높인다는 평가다.
한화 건설부문은 장비 도입과 더불어 실무 중심의 교육 과정도 확대 운영에 나선다. 교육에는 건설기계 비파괴검사 이론과 실습, 전복사고 원인 분석, 사고관리 방안 등 현장에서 필요한 실습형 커리큘럼이 포함됐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이 교육은 정기 프로그램으로 정착돼 있으며, 현장 실무자의 전문성을 높이고 안전문화를 확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화 건설부문이 스마트 안전진단 장비와 연계된 모니터링 대시보드를 통해 와이어로프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한화
김승모 한화 건설부문 대표이사는 “철저한 사전 관리와 예방을 통해 건설기계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며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임직원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현장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