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김민혁 기자] ㈜스마트제어계측이 ‘2025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SCX)’에서 차세대 현장 안전관리 솔루션인 ‘스마트교량 안전관리 플랫폼(s_bridge)’과 ‘흙막이 가시설 안전관리 플랫폼(SSP)’을 공개했다. 두 플랫폼은 IoT 센서, 디지털 트윈(DT), AI.Agent를 결합해 ‘즉시 탐지–원격 조치–근거 보고’가 가능한 통합형 안전관리 체계를 구현했다.
스마트제어계측은 기존 안전관리 시스템이 단순 모니터링에 머물렀던 한계를 넘어, AI.Agent를 통해 데이터를 읽고 상황을 이해하며 행동을 제안하고 기록까지 남기는 ‘의사결정형 안전 플랫폼’을 제시했다. 이우상 대표는 “AI를 기능이 아닌 의사결정의 엔진으로 재정의했다”며 “현장 즉응형 안전관리의 표준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스마트교량 안전관리 플랫폼 ‘s_bridge’는 교량의 경사, 변위, 가속도, 스트레인, 온도, GNSS 등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통합 관리한다. 충격, 일변화, 장기 트렌드를 구분해 임계치를 관리하며, 교량의 거동을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 시각화해 위험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AI.Agent는 돌발 이벤트 발생 시 수 분 내에 원인과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자동으로 표준 보고서를 생성한다.
‘흙막이 가시설 안전관리 플랫폼(SSP)’은 어스앵커, 버팀보, 토류판 등 주요 구조요소의 변형, 토압, 수압, 지하수위, 진동을 실시간 감시한다. 굴착 단계와 지반 조건을 반영해 단계별 위험도를 자동 갱신하며, 위험 등급 상승 시 점검 체크리스트와 보강 권고안을 제시한다. AI.Agent는 지층·수위·강우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전조 신호를 해석하고, 굴착 특화 이벤트를 인식해 보강 및 대피 절차를 자동 제안한다.
두 플랫폼은 LoRa·LTE·유선 혼합망과 엣지 컴퓨팅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가능하며, 디지털 트윈과 연동된 대시보드를 통해 실시간 구조 거동을 2D·3D로 시각화한다. 또한 원격 점검, 펌웨어 업데이트, 표준 리포트 자동화 등으로 현장 운영 효율을 크게 높였다.
스마트제어계측은 이번 솔루션을 통해 △탐지→분석→조치→보고의 전 과정을 단축해 의사결정 속도 향상 △전조 신호 기반 선제 대응으로 안전성 제고 △원격 점검으로 운영비 절감 △안전 데이터의 품질관리·공정관리 연계 등 다각도의 개선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두 플랫폼은 교량, 대규모 굴착, 내진 평가 보조 등 다양한 현장에 적용 가능하며,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 방식으로 제공된다. 또한 표준 임계치 정책, 대응 매뉴얼, 보고서 양식, 운영자 교육이 포함된 런칭 패키지 형태로 지원된다.
㈜스마트제어계측은 IoT 센서 네트워크, 디지털 트윈, AI 분석 기술을 결합해 스마트 사회기반시설을 위한 플랫폼과 디바이스를 자체 개발·운영하고 있으며, 측정부터 분석·조치·보고까지의 전 과정을 표준화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국토교통부가 주최하는 ‘2025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SCX)’는 AI, BIM, 스마트안전, 건설자동화 등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한 국내외 기업의 혁신 기술을 선보이는 전시회다. 올해는 건설 현장의 안전 혁신과 AI 기반 기술 적용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IR 투자설명회와 건설기술 컨퍼런스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엑스포 사전등록은 11월 4일까지 무료로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