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네이버 LG AI연구원 등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위해 GPU 총 26만장 공급받을 예정
[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엔비디아의 파격적 결정으로 정부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 장 확보를 조기에 달성했다.
30일 삼성역 인근 호프집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CEO가 이재용 삼성전자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의 '깐부회동'에서 러브샷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1일 엔비디아와 국내 AI 대표 기업 간 상호 협력 추진의 일환으로 GPU 총 26만 장, 이 중 공공 부문에 5만 장을 공급받는다고 밝혔다.
5만 장은 네이버·LG AI연구원·SK텔레콤·NC AI·업스테이지가 개발 중인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과 삼성SDS 컨소시엄 참여가 유력한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에 우선 쓰일 예정이다. 각각 GPU 집중 지원으로 글로벌 빅테크에 맞먹는 AI 모델과 GPU 최대 5만 장 규모의 초대형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같은 소식에 힘입어 네이버가 5%, 삼성SDS가 9.6% 등 관련주들일 일제히 급등하고 있다.
네이버 주가가 31일 정부의 GPU 5만장 조기 확보소식에 5% 가까이 급등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는 1호 공약인 AI 3강 도약을 위해 국내 AI 개발사가 연산 자원 부족으로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2028년까지 GPU 5만 장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번 엔비디아와의 협력으로 목표를 조기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배경훈과학기술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엔비디아와 함께 AI 인프라를 확충하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제조업 역량 등 한국이 보유한 강점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투자”라며 “AI 3강 실현을 위해 글로벌 AI 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엔비디아와 단순 GPU 수급을 넘어 피지컬(물리적) AI, AI랜(AI 기지국), 양자컴퓨터까지 전방위적 협력을 약속했다.
우선 과기정통부와 현대차그룹, 엔비디아가 피지컬 AI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3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연구센터 등 AI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엔비디아는 AI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엔업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 산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엔비디아, 삼성전자,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 연세대와 AI랜 공동연구 및 실증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AI랜은 통신기지국에 GPU를 탑재해 AI 연산 기능을 추가한 인프라다.
엔비디아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과는 양자컴퓨팅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한다. KISTI는 국가 슈퍼컴퓨터를 운영하며 과학기술 분야 연구기관을 위한 연산 자원을 제공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슈퍼컴퓨터를 능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양자컴퓨터를 엔비디아와 함께 도입해 연구 혁신을 앞당기겠다는 구상이다.
현대차·SK·네이버를 중심으로 민간 부문은 엔비디아 GPU 20만 장 이상을 공급받는다.
SK그룹은 국내 제조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엔비디아와 ‘제조 AI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협력 방안을 추진한다. 엔비디아의 시뮬레이션 및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기반으로 아시아 최초 기업 주도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자사뿐 아니라 정부, 공공기관, 국내 스타트업 등 모두가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
네이버 또한 클라우드 및 AI를 기반으로 국내 모빌리티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