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HOME  >  정책·지자체

美민주당, 뉴욕시장 버지니아주 뉴저지 주지사 선거 '싹쓸이'...트럼프 행정부 국정 운영에 차질 빚게 될 듯

이성구 전문위원 | 입력 : 2025-11-05 12:58

맘다니 뉴욕시장 당선자(34), 무슬림으로서 처음 시장에 당선

[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트럼프 집권 이후 처음 치러진 뉴욕시장 등 주요 지자체 선거에서 민주당이 모두 승리, 트럼프 행정부의 국정 운영에 차질을 빚게 될 전망이다.

 진보 아이콘인 맘다니 뉴욕주 의원(민주당)이 4일(현지시간) 뉴욕시장에 당선되는 등 주요 선거에서 민주당이 싹쓸이 했다. 사진=AFP, 연합뉴스
진보 아이콘인 맘다니 뉴욕주 의원(민주당)이 4일(현지시간) 뉴욕시장에 당선되는 등 주요 선거에서 민주당이 싹쓸이 했다. 사진=AFP, 연합뉴스

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월스트리트저널(WSJ)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최대 도시이자, 자본주의의 '심장' 격인 뉴욕시장 선거에서 진보 아이콘인 조란 맘다니(34) 뉴욕주 의원이 무슬림으로서는 처음으로 시장에 당선됐다.

80% 개표 기준 민주당 맘다니 의원이 50.6%, 무소속 앤드루 쿠오모 전 주지사가 41.2%를 득표했다.

이날 개표가 진행 중인 가운데 AP통신은 버지니이 주지사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인 에비게일 스팬버거 전 연방 하원의원이 공화당 후보인 윈섬 얼-시어스 부지사를 이겼다고 보도했다.

득표율은 82% 개표 기준 스팬버거 전 의원 56.2%, 얼-시어스 부지사 43.6%다. 버지니아에서 여성이 주지사에 당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뉴저지 주지사 선거에서는 민주당의 마이키 셰릴 연방 하원의원이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를 받은 공화당의 잭 치타렐리 전 뉴저지주 의원을 누르고 당선됐다.

71% 개표 기준 셰릴 의원이 56.5%, 치타렐리 전 의원이 42.9%를 득표했다. 현직 뉴저지 주지사가 민주당 소속이기에 민주당으로선 수성에 성공했다.

맘다니 의원은 인도계 무슬림으로 최저임금 인상, 무상버스, 무상교육 등 뉴욕 시민의 생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공약을 내세우면서 주목받았으나 공화당이나 재계에서는 그의 부유층 증세 공약 등을 '좌파 포퓰리즘'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46세인 스팬버거 전 하원의원은 보수 성향이 강한 버지니아 7선거구에서 3선을 지냈으며 그 전에 중앙정보국(CIA) 근무 경력이 있다.

 4일(현지시간) 치러진 버지니아 주지사 선거에서 당선된 스펜버거(민주당) 전의원. 사진=AFP, 연합뉴스
4일(현지시간) 치러진 버지니아 주지사 선거에서 당선된 스펜버거(민주당) 전의원. 사진=AFP, 연합뉴스

하원의원 시절 당시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정책 일부를 반대하는 등 민주당 내 중도 성향으로 평가받는다.

버지니아주 부지사 선거에서도 역시 민주당 소속인 가잘라 하시미가 당선됐다. 미국에서 주정부 선출직에 무슬림 여성이 당선된 것은 하시미가 처음이다.

버지니아주는 2008년부터 작년까지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가 계속 승리해 '블루 스테이트'(blue state·민주당 지지성향이 강한 주)로 간주된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과 민주당의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이 붙은 작년 대선에서 그 격차가 좁혀진 데다 2021년 주지사 선거에서는 공화당 소속인 글렌 영킨 현 주지사가 당선되는 등 중도 성향이 최근 두드러지고 있다.

셰릴 의원은 해군에서 9년을 복무하면서 헬리콥터 조종사로 유럽과 중동에서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후 변호사와 연방 검사를 지냈다.

미국 정치권과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여론이 반영될 것이라는 점에서 버지니아와 뉴저지 주지사 선거에 주목했다.

특히 트럼프 2기 후반부 국정 운영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내년 11월 중간선거(연방 상·하원 의원 등 선출)를 앞두고 민주당이 이번 주지사 선거 승리에 고무될 것으로 매체들은 예상했다.

지난달 1일부터 이날까지 35일간 계속된 연방정부 일부 업무정지(셧다운) 사태 속에 민심이 트럼프 대통령과 여당인 공화당에 그리 우호적이지 않다는 점이 이번 선거에서 일부 드러난 만큼 민주당은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통행식 국정운영에 대한 견제의 고삐를 더 당길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책·지자체 리스트 바로가기

인기 기사

최신 기사

대학뉴스

글로벌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