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인력 불확실성 등 '3중고' 겪고 있어...대한상의, 한국 AI 인재 중국의 20분의 1임에도 AI 인재 순유출국
[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인공지능(AI) 3대 강국으로 올라서는 목표는 세웠지만 막상 이를 위한 자금과 인력, 불확실성의 '삼중고'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3대 강국 도약이라는 목표를 세웠지만 국내 기업들은 자금 인력 불확실성 등 3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
1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504개 제조기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를 담은 'K-성장 시리즈⑺ 기업의 AI 전환 실태와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82.3%가 'AI를 경영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AI 활용도는 4.2%에 그쳐 49.2%인 대기업에 비해 크게 낮았다.
AI 투자 비용의 부담 수준을 묻는 말에 기업의 73.6%는 '부담이 된다'고 답했다.
역시 이 같은 답은 중소기업이 79.7%로, 57.1%인 대기업보다 많았다.
AI 활용을 위한 전문 인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기업의 80.7%가 '없다'고 밝혔다.
AI 인력을 어떻게 충원하는지에 대해서도 82.1%가 '충원하고 있지 않다'고 한 반면, '내부 직원 교육을 통해 전문 인력으로 전환한다'는 답은 14.5%, '신규 채용한다'는 답은 3.4%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AI 인재는 2만1000명 수준으로, 41만1000명의 중국이나 19만5000명의 인도, 12만명의 미국에 비해 턱없이 적다"며 "절대적 숫자도 적은데 그나마 있는 인재조차 빠져나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의 AI인재는 미국 중국 인도 등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데다 순유출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외국 기업들의 서울AI재단 방문, 연합뉴스
스탠퍼드대 휴먼센터드AI연구소(HAI)에 따르면, 한국은 AI 인재 순이동(Net Flows)이 -0.36으로 인재 순유출국에 해당한다.
AI 전환이 실제 성과가 있을지에 대한 확신도 부족했다.
응답 기업 10곳 중 6곳은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고 답해 '효과가 클 것'(39.4%)이라는 답변보다 많았다.
보고서는 AI 전환에 적잖은 비용과 인력을 투입해야 하는 제조업 특성상 투자 대비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클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