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사장, "AI 거품론이나 테크주 고점 논란 중요하지 않아"...미래성장, 결국 기술주가 이끌어
[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사장은 미래 성장은 제조업이 아니라 테크기업에 있다며 기술주에 장기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4일 배 사장은 이날 투자 세미나에서 "지금은 테크기업이 세상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며 "제조업은 쳐다 보지도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현재 증시를 뒤흔드는 인공지능(AI) 거품론이나 테크주 고점 논란은 중요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사장은 24일 투자 세미나에서 "제조업은 쳐다 보지도 말고 기술주에 장기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사진=연합뉴스
배 사장은 "지금이 고점이면 어떡할 것이고 저점이면 어떡할 것이냐. 지금이 고점인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다"면서 "어차피 지금이 AI 버블인지 아닌지는 알 수가 없다"라고 말했다.
즉 AI 거품론과 같은 단기 전망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어떤 산업에 투자할지 방향성을 고민해야 하며, 그 방향성은 테크기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제는 시장이 고루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제조업은 가라앉고 테크기업이 부를 창출하고 있다"면서 "미국 주식에 투자할 때도 제조업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 말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에 투자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다만 배 사장은 테크기업 개별종목보다는 종목 묶음, 즉 ETF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투자할 때는 설사 수익률이 높을 때도 변동성이 커지면 불안을 느껴 투자를 유지하지 못하고 포기할 위험이 생긴다"면서 "이 변동성을 극복하는 것은 논리가 아니라 감정적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젊은 투자자의 경우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리스크가 큰) 개별 종목보다는 조금 천천히 가더라도 충분히 부자가 될 수 있는 ETF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는 ACE ETF 리브랜딩 3주년을 기념해 개최됐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지난 2022년 10월 ETF 브랜드명을 기존의 'KINDEX'에서 현재의 'ACE'로 개편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ACE ETF의 순자산총액은 리브랜딩 당시 3조원에서 지난달 말 기준 22조원까지 불어나 7배 이상 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