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HOME  >  정책·지자체

정부 "2주 뒤 마스크 외 모두 해제 검토"

입력 : 2022-04-01 17:18

4일부터 17일까지…행사·잡회·종교 방역 유지
"의료체계 여력 감소…국민 기대감 고려해야"
마스크 착용, 확진자 7일 격리는 별도로 논의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 참석해 김부겸 총리의 발언을 듣고 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 참석해 김부겸 총리의 발언을 듣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소폭 완화하되 2주 후에 유행이 확연하게 감소세로 전환하면 마스크 착용 등 핵심 수칙을 제외한 방역 조치를 전면 해제하겠다고 밝혔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 겸 보건복지부 장관은 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 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사적 모임은 현행 8인에서 10인으로, 다중시설 이용 시간 제한은 현행 오후 11시에서 자정으로 각각 완화한다.

이 같은 조치는 오는 4일부터 17일까지 2주간 시행한다.

이 밖에 행사·집회, 종교시설 등에 적용하는 방역 수칙도 이 기간 유지한다. 행사와 집회는 접종 여부에 관계없이 299인까지 가능하고 정규 종교활동은 접종 여부에 관계없이 수용인원의 70%까지, 종교행사는 최대 299인까지 가능하다.
질병관리청과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동 분석에 의하면 거리두기를 완화하더라도 확진자 수는 10~20% 증가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가 이번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을 위해 일상회복지원위원회, 관계부처, 지자체 등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한 결과 보수적 접근과 거리두기 완전 해제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방역의료 전문가들은 위중증·사망 증가, BA.2 변이('스텔스 오미크론') 우세종화, 의료체계 여력 등을 고려해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나, 자영업·소상공인·관광업계 등에서는 거리두기 완전 해제와 손실보상 지급대상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권 장관은 "의료체계 여력이 점차 감소하는 상황이지만 정점 이후 거리두기 완화에 대한 국민적 기대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이 같은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번 2주간은 영업시간과 사적모임 기준을 부분적으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권 장관은 "이후 방역 상황과 의료 여력 등을 확인하면서 추가적인 완화를 결정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2주간 유행이 확연히 감소세로 전환되고 위중증환자와 의료체계가 안정적인 수준을 보인다면 실내 마스크 착용 등 핵심수칙을 제외한 영업시간, 사적모임, 대규모 행사 등 모든 조치 해제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구체적인 완화 일정에 대해 "아직까지는 위중증과 사망의 고점인지 정점인지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전면적인 완화보다는 단계적인 완화를 채택하고 2주간 그 추이를 지켜보고자 한다"고 답했다.

또 "위중증 환자는 1300명, 중환자실 가동률은 65% 내외를 유지하고 있는데 2주간 이 상황이 급격하게 증가하지 않고 현 수준 정도를 유지하면 조금 더 거리두기 체계를 전폭적으로 완화하는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단 손 반장은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에 대해선 "마스크 착용은 가장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생활수칙에다 비용 효과성 측면에서 아주 효율적"이라며 "최후까지 존속시켜 놓고 이후에 검토한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확진자의 7일간 의무 격리에 대해서도 "방역체계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관리 방안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별개의 논의에서 다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책·지자체 리스트 바로가기

인기 기사

최신 기사

대학뉴스

글로벌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