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한국신문윤리위원,전 한국기자협회 자정위원장,전 문화일보 전국부 부장,전 한국기자협회 부회장
[비욘드포스트 김형운 기자] 일본 정부가 조만간 강행을 예고한 후쿠시마 제1원전의 방사능 오염수 방류 준비가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1㎞ 길이의 해저터널 굴착 공사도 두 달 전 끝냈다. 이어 27일에는 방류 설비의 시운전도 마쳤다.
일본 정부는 구체적인 방류 개시 시점을 밝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준비상황을 보면 조만간 방류가 분명하다.원자력규제위원회는 28일부터 검사를 시작한다.
IAEA(국제원자력기구)는 그동안 후쿠시마 오염수의 해양 방류에 대해 반대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다.그러나 주변국들의 반대나 국내 여론 특히 어민들의 반대가 강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방류 개시가 임박하자 최근 후쿠시마 주변 어민들뿐만 아니라 일본 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까지 나서서 해양 방류에 반대하는 입장을 다시 한번 밝혔다.
불안감을 갖고 생선 소비를 꺼리는 사람들이 늘어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나쁜 소문을 우려하는 부분이다.이 문제와 관련 대한민국에서는 여당과 윤대통령이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를 고려하며 일본편을 들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저지를 위한 단식농성장을 방문해 단식중인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 윤재갑 의원과 인사를 하고 있다.(뉴시스)
더불어민주당등 야당은 윤대통령의 일본 두둔과 관련해 “후쿠시마 오염수를 직접 마셔봐라”,”친일매국 윤석열은 사퇴하라”는 현수막을 연일 내걸며 더불어민주당의원의 단식투쟁등으로 공세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주변국인 중국도 반대의 목소리가 높다. 이 문제를 놓고 여야가 연일 정쟁에 나서고 있다.
여야와 국민들의 갈등을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류 문제에 대한 국민여론조사를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여론조사결과를 보고 정부도 분명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
일본이 원전 오염수 방류를 강행하고 있어 일본과 가장 가까운 우리나라 바다의 오염이 불가피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