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
(대표이사 김병훈
)이
10일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2024년 연결 기준 연간 매출액
7228억 원과 영업이익
122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38.0%, 영업이익
17.7%가 증가한 수치이며
, 사업연도 기준
11년 연속 매출 신장에 성공했다
. 에이피알은
2년 연속
1천억 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며
, 성공적인 금융상품 운용 등을 통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30% 성장하며
1천억 원을 넘는 등 수익성 측면에서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
2024년에는 양적 성장이 크게 두드러졌다
. 에이피알은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40%에 준하는 매출 성장률을 보이며 뷰티는 물론 산업 전반에서도 두드러지는 성장성을 증명했다
. 에이피알이 지난
2023년
31.7%의 성장률로
5238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중견기업 반열에 오른 점을 감안하면
, 2024년은 이전보다 높은 성장률과 함께 성장에 더욱 가속화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특기할 만하다
. 매해 외형적으로 가장 좋은 실적을 기록해왔던
4분기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매출액
2442억 원
, 영업이익
396억 원을 기록하며 분기 실적 역사를 새로 썼다
.
사업 부문별로는 화장품
/뷰티 부문의 폭발적인 성장이 단연 눈길을 끌었다
. 화장품
/뷰티 부문은
2024년
4분기에만 전년 동기 대비
103.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분기 매출
1163억 원
, 연 매출
3385억 원을 기록했다
. 특히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글로벌 시장 속 입지를 강화했다
. 실제로
2024년
4분기 미국 아마존 최고 순위를 기준으로 ‘제로모공패드’가 토너
&화장수
(Toners&Astringents) 부문
1위
, ‘콜라겐 나이트 랩핑 마스크’가 마스크
(Facial Masks) 부문
2위
, ‘콜라겐 젤리 크림’이 보습제
(Face Moisturizer) 부문
3위 등을 기록하며 메디큐브 화장품들이 맹활약을 이어갔다
.
메디큐브 에이지알
(AGE-R) 뷰티 디바이스 부문 역시 전년 대비
44.6% 성장한
3126억 원의 연매출을 기록하며 화장품
/뷰티와 함께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 특히
2024년 대표 제품 ‘부스터 프로’의 판매가 본격화되면서 ‘울트라튠
40.68’과 ‘하이 포커스 샷’
, ‘부스터 프로 미니’ 등
2세대 디바이스들의 신규 판매도 활발하게 이어졌다
. 2024년 말 기준 에이지알 뷰티 디바이스의 국내외 누적 판매량은
300만 대를 넘어섰으며
, 그중 ‘부스터 프로’는 단독 모델로
100만 대 판매 이상 판매되는 성과를 거뒀다
.
지역별로는 해외 시장에서 높은 성장률이 돋보였다. 에이피알은 2024년 4분기 해외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35%의 성장하며 1500억 원을 돌파했다. 이로써 에이피알은 창립 이래 최초로 연간 해외 매출 4천억 원을 넘어섰다. 특히 미국에서 고속 성장이 두드러졌다. K뷰티의 뜨거운 인기를 타고 에이피알은 미국 아마존 프라임 데이에서 큰 성공을 거뒀으며, 블랙프라이데이 등의 연말 프로모션에서도 대흥행을 기록했다. 2024년 본격화된 해외 B2B 매출 역시 2024년 4분기에만 전년 동기 대비 1171%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에이피알은 해외 총판 혹은 대리점, 유통사 등을 공략하는 B2B 사업을 통해 유럽, 남미, 중동 등지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올해 더 많은 국가에 확장 진행 중이다.
에이피알은
2025년에도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를 바탕으로 외형 성장 기조를 유지하며 매출 극대화를 노릴 계획이다
. 현재의 성장세를 유지할 경우 ‘조 단위 매출’도 가시권에 들어오는 만큼
, 국내외 사업 확장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 특히 새롭게 선보인
PDRN 화장품이 해외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으며 기존 제로라인과 콜라겐라인 등에 이어 새로운 매출 동력으로 자리하는 가운데
, 신규 디바이스 출시를 통한 글로벌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 공략 역시 지속될 예정이다
.
에이피알 관계자는 “불안정한 경제 상황 속에서도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의 동시 성과를 통해 역대 최대 실적을 재차 경신할 수 있었다”며 “
2025년에도 외형 성장 극대화를 통해 조 단위 매출 기업으로 한 단계 더 올라서겠다”고 밝혔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