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대학팀 이성구 전문위원]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하버드에 대한 보조금 지원 일부를 중단한 데 이어 '면세 지위'를 박탈할 수 있다고 위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하버드대에 대한 지원금 일부를 동결한 데 이어 15일(현지시간) '면세 지위'를 박탈하겠다고 위협했다.사진=블룸버그통신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면세 지위는 전적으로 공공의 이익에 따른 행동에 달렸다는 점을 기억하라"고 말했다.
그는 "만약 하버드가 계속해서 정치적이고 이념적이며 테러리스트의 영감을 받거나 (테러리스트가) 지지하는 '질병'을 계속해서 추진한다면 아마 하버드는 면세 지위를 잃고 정치 단체로 세금이 매겨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하버드대는 전날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근절 등을 명분으로 한 트럼프 정부의 교내 정책 변경 요구를 수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러자 트럼프 정부는 하버드의 반기 의사를 밝힌 지 몇 시간 만에 즉각 하버드대에 수년간 22억6000만달러 (약 3조 1000억원)의 연방정부 계약과 보조금을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이날 백악관 브리핑에서 "하버드와 관련해 대통령은 그들이 연방 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해왔다"라면서 "그는 하버드대가 자신들의 캠퍼스에서 유대계 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벌어진 끔찍한 반유대주의에 대해 사과를 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서 가장 명성있는 대학들에 만연한 반유대주의 시위와 무분별한 다양성 평등 포용(DEI) 프로그램들을 좌시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WSJ은 미 당국에서 '지속적인 재정 관계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9가지 조처 실행'을 하버드대에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여기에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마스크 착용 금지와 다양성·평등·포용(DEI) 프로그램 폐지 등도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연방정부에 정면으로 맞선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 사진=하버드대 홈피 캡처
1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이날 교내 커뮤니티에 보내는 글에서 "우리 대학은 독립성이나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놓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그 어떤 정부도 사립대학이 무엇을 가르칠 수 있는지, 누구를 입학시키고 고용할 수 있는지, 어떤 연구와 탐구 분야를 추구할 수 있는지 지시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가버 총장은 "미 정부에서는 우리에게 반유대주의에 맞서기 위한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관련 활동은 "적법한 절차를 무시하고 있으며 월권 행위에 해당된다"고 지적했다.
연방정부의 보조금 동결과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 중 가장 돈이 많은 하버드간의 대결이 확산될 것이라고 WSJ은 전했다.
이 매체는 올해 초 연방정부가 뉴욕의 명문 컬럼비아대의 보금금 삭감을 시작으로 진행된 유명 대학 및 미국 전역의 중소 대학들에 대한 보조금 지원 및 압박이 진행중인 상황에서 하버드의 저항은 연방정부에 대해 가장 의미있는 반격이라고 평가했다.
연방정부 지원금은 하버드대 연간 매출의 11%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료=하버드애, 블룸버그통신
블룸버그통신은 미국내 최고 부자 대학인 하버드대가 530억달러에 달하는 기부금을 운영하고 있는 데다 신용등급도 'AAA 등급' 이르는 최상위 등급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어반 인스티튜트의 고등교육 전문가인 샌티 바음은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하버드대가 다른 대학들에 비해 재정적으로 많은 기부금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연방정부 보조금과 계약 지원금을 대체할 정도는 아니다"고 평가했다.
하버드대가 공개한 최근 재정 리포트에 따르면 하버드는 지난해 연간 매출이 65억달러에 4500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학교측이 운영하는 자금의 80%는 재정지원, 교수직 지원, 학자금 지원 등 용도가 제한돼 있다고 이 매체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