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제롬 파월 美연준의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예상보다 높은 관세로 물가 인상과 성장 둔화가 예상된다면서 연준이 물가와 성장 중 어디에 더 초점을 맞출지 선택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부닥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제롬 파월 美연준의장은 16일(현지시간) 관세로 물가와 성장이라는 양대 목표 실현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사진=로이터통신
파월 의장은 다만 당장은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 조정을 고려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1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일리노이주의 시카고 이코노믹클럽에서 한 연설에서 "관세는 최소한 일시적으로 인플레이션의 증가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어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고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며 "연준이 양대 목표(최대 고용·물가 안정)가 서로 긴장 상태에 놓이는 도전적인 시나리오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밝혔다.
파원 의장은 그러면서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나면 연준은 경제가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각각의 목표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각각 목표와 현실 사이의 간극이 좁혀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엔비디아 H20 칩 규제로 하락하던 나스닥 지수는 파월 의장의 기존 입장 고수 발언에 하락 폭을 키웠다. 자료=블루버그통신
하지만 파월 의장은 이 같은 상황에도 아직까지는 기준금리 인하를 포함한 통화정책 조정을 고려하지 않은 채 경제 상황을 좀더 관망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코로나19 확산 때 반도체를 구하지 못해 자동차 가격이 오랫동안 올랐던 사례를 언급하고서 이 같은 "공급망 차질"이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도록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증시가 급락하면 연준이 시장에 개입하는 이른바 '연준 풋'을 기대해도 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며 "시장은 원래 취지대로 작동하고 있고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세계적으로 달러화가 부족할 경우 달러화를 공급할 준비가 됐느냐는 질문에는 연준이 외국 중앙은행들과 통화 스와프를 체결한 점을 거론하면서 "그렇다"고 답했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