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대학팀 이성구 전문위원] 아이비리그의 명문 하버드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데 이어 뉴욕소재 아이비리그인 컬럼비아대도 반(反)트럼프 움직임에 가세하고 나섰다.
하버드대가 트럼프 행정부에 첫 반기를 든 이후 뉴욕소재 명문인 컬럼비아대도 입장을 바꿔 트럼프 행정부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사진=로이터통신
그러나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문화 전쟁'이 명문대들과의 마찰로 격화하자 입장을 바꿔 정부의 '명문대 때리기'에 대한 저항에 가세한 것으로 보인다.
1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클레어 시프먼 컬럼비아대 총장 대행은 전날 밤 대학 구성원들에 보낸 성명에서 컬럼비아대는 정부가 "우리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포기할 것을 요구하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클레어 시프먼 컬럼비아대 총장 대행은 16일(현지시간) 대학의 독립성을 놓고 정부와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컬럼비아대 홈피 캡처
시프먼 총장 대행의 메시지는 전날 앞서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이 트럼프 행정부와 '공개 충돌'을 빚은 지 약 12시간 뒤에 나왔다.
지난해 대대적인 친팔레스타인 시위로 총장이 잇달아 사임하는 등 홍역을 겪었던 컬럼비아대는 최근에는 시위 통제 등에 대한 정부 요구를 대부분 수용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보조금 삭감' 압박에 굴복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전날 교내 커뮤니티에 보낸 글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 기금 지원을 대가로 요구한 학칙 개정 등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면서 "우리 대학은 독립성이나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놓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시프먼 컬럼비아대 총장 대행은 이러한 하버드대 총장의 메시지를 "큰 관심을 가지고" 읽었다면서 컬럼비아대도 "우리 기관을 해치고 유용한 개혁들을 약화할 가능성이 있는 정부로부터의 강압적인 조정을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연방 정부 당국자들이 "우리가 무엇을 가르치고 연구할지 혹은 우리가 누구를 고용할지"를 지시하는 내용의 어떠한 합의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날 시프먼 총장 대행의 메시지는 앞서 트럼프 행정부가 대학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판한 하버드대 총장의 글에 비해서는 비난 수위를 약하게 조절한 모습이었다고 NYT는 짚었다.
이날 컬럼비아대도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에 반기를 들기 시작하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아이비리스 명문대와의 싸움이 본격화 할 지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지난해 친팔레스타인 시위가 확산한 10개 대학 캠퍼스를 방문하겠다고 밝히는 등 대학들을 압박해 왔다.
이후 하버드대와 컬럼비아대, 조지워싱턴대, 존스홉킨스대 등 미국 주요 명문대들에 다양성·평등·포용성(DEI) 프로그램 폐지 및 입학 규정 변경 등의 정책 변화를 요구하며 이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정부 보조금을 삭감하겠다고 위협했다.
이에 따라 컬럼비아대는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4억 달러(약 5703억 원) 규모의 보조금과 계약 취소 위협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하버드대가 전날 정부와 협상을 거부하겠다며 반기를 들자 트럼프 행정부도 즉각 하버드대에 22억달러(약 3조1천억원) 규모의 보조금을 동결하는 등 대응에 나서 갈등이 격화하는 양상이다.
연방정부 지원금은 하버드대 연간 매출의 11%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료=하버드애, 블룸버그통신
한편 워싱턴 D.D에 있는 또 다른 사립 명문인 조지타운대는 중동 국가 카타르 분교의 국제관계학 운영 계약을 2035년까지로 10년 더 연장했다고 이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내 최고 부자 대학인 하버드대가 530억달러에 달하는 기부금을 운영하고 있는 데다 신용등급도 'AAA 등급' 이르는 최상위 등급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학교측이 운영하는 자금의 80%는 재정지원, 교수직 지원, 학자금 지원 등 용도가 제한돼 있다고 이 매체는 지적했다.
어반 인스티튜트의 고등교육 전문가인 샌티 바음은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하버드대가 다른 대학들에 비해 재정적으로 많은 기부금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연방정부 보조금과 계약 지원금을 대체할 정도는 아니다"고 평가했다.
연방정부 지원금도 지난해 6월 기준 하버드대 매출의 11%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성구 전문위원 글로벌대학팀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