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서버 없는 대규모 온라인 게임 실현
[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차세대 인터넷 플랫폼 크레타
(CRETA)의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다이버스
(DIVERSE)는 중앙 서버 없이 대규모 온라인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버리스
(Serverless)' 기술이 적용된
‘로커스 게임체인
’이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 다이버스는 고성능 퍼블릭 블록체인
‘로커스체인
’을 개발한 블룸테크놀로지의 게임 전문 자회사다
.
‘로커스 게임체인
’은 기존
P2P(개인 간 통신
) 기반 기술을 넘어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구현한 차세대 온라인 서비스 솔루션이다
. 기존 중앙 서버 구조에서는 모든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해야 했지만 로커스 게임체인은 서버 없이 사용자들이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구조로 안정적이면서도 빠른 통신과 확장성을 확보했다
.
로커스 게임체인은 서버 인프라 비용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되고 기업 가치가 온전히 평가받지 못했던 기존 온라인 게임 산업의 구조적 한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 매출이 발생하기 전까지 기업이 떠안아야 했던 과도한 비용 부담을 해소함으로써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게임들이 상업적 제약 없이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
이러한 변화는 고비용 인프라를 감당하기 어려운 신흥시장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 개발사는 낮은 초기 비용으로 글로벌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고 수억 명의 이용자들은 안정적이고 합리적인 환경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 이를 통해 기존 시장에 접근하지 못했던
‘차세대
10억 게이머
(The Next Billion Gamers)’의 유입을 촉진하고 서비스 업체의 경제적 사정으로 인한 서버 종료 사례 역시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
해당 기술의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원천 기술을 개발한 블룸테크놀로지는 지난
2022년 글로벌 게임 퍼블리싱 플랫폼인 스팀
(STEAM)을 통해
‘킹덤 언더 파이어
: 골드 에디션
(Kingdom Under Fire: Gold Edition)’에서 서버 없이 구동되는 로커스게임체인 기술을 선보인 바 있다
.
블룸테크놀로지 주영현
CTO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서버 없이도 안정적인 네트워크 연결과 빠른 통신을 구현했다
”며
“로커스게임체인은 일반적인
P2P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에도 활용 가능한 유망한 옵션이라는 점을 입증할 것
”이라고 밝혔다
. 이어
“로커스체인이 탈중앙화 기술의 실용화 단계에 이를 때까지 도전을 멈추지 않겠다
”고 강조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