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HOME  >  금융·증권

“3개월 만에 2배 ‘껑충’” KB자산운용, ‘RISE AI&로봇 ETF’ 순자산 2천억 돌파

신용승 기자 | 입력 : 2025-09-16 09:51

국내 최초 ‘K-휴머노이드 밸류체인 ETF’
정책 모멘텀 힘입어 로봇산업 성장 기대 확산

/KB자산운용
/KB자산운용
[비욘드포스트 신용승 기자] KB자산운용은 ‘RISE AI&로봇 상장지수펀드(ETF)’가 순자산 2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상반기 1000억원을 넘어선 지 불과 석 달 만에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국내 인공지능(AI)·로봇 테마 상장지수펀드(ETF) 가운데 가장 빠른 성장세다.
정부가 발표한 ‘AI·로봇 대전환 정책’과 100조원 규모 국가 AI 펀드 조성, 휴머노이드 로봇 클러스터 구축 계획 등에 속도가 붙으면서 AI·로봇 산업에 대한 투자 기대는 날로 커지고 있다.

더불어 데이터 인프라 확충, 관련 규제 완화, 전문 인재 양성 같은 후방 지원책 역시 기업 가치 상승과 산업 수요 확대를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AI·로봇 산업 내에서도 차세대 핵심 성장 분야로 꼽힌다.
지난 2023년 출시한 ‘RISE AI&로봇 ETF’는 국내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콘셉트 ETF다. 로봇의 두뇌(AI)와 몸통(하드웨어)의 핵심 밸류체인 전반에 투자한다는 점에서 정부 정책 기조와 맞닿아 있다.

이 ETF는 ▲AI ▲로봇·자동화 ▲반도체·전자제품 ▲바이오산업 등 혁신 산업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산업 성장의 수혜가 예상되는 대표 기업에 분산 투자한다.

기존에 상장한 국내 로봇 ETF 포트폴리오가 대형주 중심이라면, ‘RISE AI&로봇 ETF‘는 종목 편입 기준에 매출 관련도 조건을 추가해 산업 관련도가 높은 순수 AI&로봇 기업들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운용 성과 측면에서 산업 성장성과의 상관관계가 크다.

RISE AI&로봇 ETF’의 주요 편입 종목은 NAVER(6.43%), LG씨엔에스(5.73%), 루닛(5.00%), 레인보우로보틱스(4.95%), 두산로보틱스(4.9%) 등이다.

운용 성과도 우수하다. 최근 6개월, 1년 수익률이 각각 10.49%, 37.47%를 기록하고 있다.

노아름 KB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휴머노이드는 더 이상 공상과학의 개념이 아니라 산업 패러다임 전환의 실제 수혜 분야”라며 “RISE AI&로봇 ETF는 정부 정책과 글로벌 기업의 움직임이 동시에 맞물리면서 장기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투자 상품”이라고 말했다.

신용승 기자 credit_v@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금융·증권 리스트 바로가기

인기 기사

최신 기사

대학뉴스

글로벌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