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7일 올해 성장률을 기존 0.9%에서 1.0%로 0.1% 포인트 상향조정한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한은은 27일 발표한 올해 마지막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제시했다. 지난 8월 전망보다 0.1%포인트(p) 높게 잡았다.
지난 3분기 성장률 속보치가 1.2%로, 한은의 기존 전망치(1.1%)보다 높게 나온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올해 연간 전망치를 2023년 11월(2.3%) 이후 지난해 5월(2.1%), 11월(1.9%), 올해 2월(1.5%), 5월(0.8%) 지속해서 낮추다가 8월(0.9%)부터 다시 높이기 시작했다.
이번 한은 전망치는 한국금융연구원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제시한 1.0%와 같고, 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0.9%보다 높다.
한은은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을 1.3%, 설비투자 증가율을 2.6%로 각각 전망했다. 지난 8월 전망보다 민간소비는 0.1%p 낮아졌고, 설비투자는 0.1%p 높아졌다.
건설투자는 -8.3%에서 -8.7%로 전망치가 더 나빠졌다.
한국의 성장률 추이와 각 기관별 전망 비교. 자료=한국은행, 각 기관
한은은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 전망치를 기존 1100억달러에서 1150억달러로 소폭 높이고, 내년 흑자 규모도 13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데다 국제 유가가 안정되면서 교역 조건이 개선된 점을 반영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부문의 성장세는 견조한 반면 관세 영향이 큰 부문과 지방중소기업 등에서는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