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들은 잘 모르거나 알아도 쉽게 꺼낼 수 없는 얘기입니다. 우선 사례 하나. 내가 사는 아파트 뒤쪽으로 조그만 샛길이 있습니다. 큰길로 나가는 지름길이어서 아는 사람들만 이용하는데 자동차 두 대가 겨우 지나갈 정도로 좁은 길입니다. 마주 오는 승용차 두 대가 대치하고 서 있습니다. 늦게 진입한 쪽에서 양보해서 후진하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두 차가 모두 길 끝으로 최대한 비켜줘야 가까스로 지나갈 수는 있는데 앞 차가 꼼짝도 안 합니다. 이럴 경우 상대 운전자는 거의 여자입니다.
또 차들이 빼곡히 주차돼 있는 주차장에서 용케 빈 공간을 찾았는데 그 자리를 잡겠다며 서 있는 사람, 바쁜 출근길에 뒤에 차 밀리는 건 아랑곳하지 않고 비상등을 켜고 길가에 정차한 차주, 지하철에서 자리가 나면 앞에 서 있는 사람은 무시하고 다른 데 서 있는 자기 일행을 불러 기어코 그 자리에 앉히는 사람, 이런 얘기의 주인공들 역시 안됐지만 대부분이 여자입니다.
뭐,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운전이 서툴러서 후진이 어렵거나 섣불리 차를 움직였다가 혹시나 차를 긁을까 두려울 수도 있습니다. 주차장에서 아직 도착하지 않는 차를 위해 자리를 맡아두는 것이 매몰차게 상식에 어긋난다고 볼 수도 없습니다. 뒤따르는 차들에겐 미안하지만 복잡한 도로변에 굳이 차를 세운 건 모닝커피를 사러 스타벅스에 잠깐 들른 것인지도 모릅니다. 다 어쩔 수 없는 사정들이 있겠지요. 문제는 그런 주인공들은 왜 압도적으로 여성이 다수인가라는 겁니다.
우리 모두는 사회의 구성원입니다. 내가 사회에서 누리는 편리와 쾌적함은 누군가 자신의 불편을 감수하고 배려해줬기 때문입니다. 자기 차는 긁히는데도 다른 차가 지나갈 수 있도록 비켜줬고, 좀 멀더라도 다른 차들을 방해하지 않는 곳에 멈추고, 지치고 피곤하지만 자신보다 더 절실하게 앉아야 할 사람이 있는지 먼저 살폈기 때문에 누군가가 편리를 누릴 수 있는 겁니다. 불특정다수를 향한 소소한 자기희생, 그것을 우리는 ‘사회적 배려’라고 합니다. 이 때문에 우리는 주어진 조건에서 각자의 공간을, 각자의 조건을 최대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여성들의 배려심이 남성의 그것에 비해 훨씬 크다고 알고 있습니다. 일견 맞는 것 같지만 내가 보기엔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가족이나 친구, 지인들에게 보이는 여성들의 배려는 남자들이 흉내낼 수 없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상대가 타인이나 불특정 다수가 될 때는 그 자상하던 배려는 온데간데없습니다.
이쯤 되면 또다시 궁금해집니다. 이유가 뭘까요? 인성이 나빠서? 아닙니다. 보통의 평범한 여성들은 범죄의 ‘범’자도 모르는 선량한 사람입니다. 단지 사회적 배려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는 걸 배운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여성은 스스로를 사회적 약자로 규정하고 배려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사회의 일원이 아닌 ‘보호받는 자’임을 받아들였습니다.
여자도 떳떳한 사회 구성원이고 배려의 주체임을 스스로 인식해야 합니다. 사회의 일원으로 대우받고 싶은 만큼 배려도 당당하게 베풀어야 합니다. 남자가 출입문을 잡고 있으면 쏙 들어가는 대신 문을 잡고 뒤에 오는 남자를 기다려야 합니다. 조금만 신경 쓰면 피할 수 있는 비난입니다. 누구보다 희생적인데 무심한 매너 하나 때문에 지나치게 욕을 먹는다면 억울하지 않습니까. ^^*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