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의 '중대선거구제 검토', 국회의장의 '선거법 개정 방침'을 환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제가 정치를 시작한 이유는 바로 '우리 정치의 판을 바꾸지 않고서는 대한민국이 단 한 발짝도 나아갈 수 없다'는 절박함 때문이었다"고 밝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그러면서 "승자독식의 양당 기득권 구조와 정치 양극화는 정치뿐 아니라, 대한민국 복합위기의 본질이다. 이 구도를 반드시 깨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저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비호감, 네거티브 아젠다를 '정치교체'와 '국민통합'으로 바꿨다"고 이어갔다.
그러면서"작년 5월부터는 민주당 정치교체추진위원장으로서 선거제도 개혁, 국회의원 특권폐지 등을 이미 추진했고, 8월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94%의 높은 찬성률로 '국민통합·정치교체 결의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고 전했다.
이외에도"이제 여야 정치권의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며 "시간이 많지 않다. 올해 4월 이내 선거법을 개정해야 내년 총선에서 정치교체의 첫발을 내딛을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대통령의 발언이 결코 빈말이 돼서는 안된다. 여당이 응답한다면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며 여야 정치권의 결단을 촉구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조선일보 신년인터뷰에서 "선거제는 다양한 국민의 이해를 잘 대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돼야 하는데 소선거구제는 전부 아니면 전무로 가다 보니 선거가 너무 치열해지고 진영이 양극화되고 갈등이 깊어졌다"며 "지역 특성에 따라 2명, 3명, 4명을 선출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선거구제 개편 검토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진표 국회의장도 이날 오전 국회 시무식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오는 3월 중순까지는 내년에 시행할 총선 제도를 확정할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