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퇴행성 관절염하면 보통 무릎을 떠올리기 쉽지만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모든 곳에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관절은 체중을 지탱하고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절이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면 보행장애를 일으켜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으므로 초기 대처가 매우 중요하다.
골반과 다리를 연결해주는 엉덩이관절인 고관절은 두터운 관절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볼-소켓 형태로 돼 있어 매우 안정적이면서도 운동범위가 큰 관절이다. 하지만 노화뿐 아니라 무리한 운동이나 잘못된 자세 등으로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마모되면 고관절에 부종과 변형,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퇴행성 고관절염이라고 한다. 간혹퇴행성고관절염증상을허리디스크로오인하는경우가있는데퇴행성고관절염은엉덩이쪽에통증이나타나고고관절을벌리거나굴곡시킬때통증이심해진다는점에서허리디스크와는다르다.
퇴행성고관절염을조기에진단하면약물, 주사, 물리치료등의보존적치료를통해호전을기대할수있다. 하지만통증과변형이심각한상태라면수술이 불가피하다. 이때 시행할 수 있는 인공관절 수술은 기존 고관절 일부를 제거하고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로 관절 운동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은 물론 통증을 없애는 것이 주요 치료 목적이다. 퇴행성 고관절염은 수술 후에도 인공관절에 가해지는 체중 부하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인 운동, 식습관 관리와 같은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인공관절 수술은 단순히 인공관절 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변형되고 손상된 관절 주위 및 주변 조직의 균형을 맞춰야 하는 고난도 수술이므로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이 필요하다.
신촌연세병원 정형외과 추지웅 과장은“평소 고관절 관리를 위해 고관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쪼그려 앉기, 양반다리, 다리 꼬고 앉기 등의 자세는 피하고 적절한 체중 관리를 통해 고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야 한다”며“무엇보다 고관절염 치료 시기를 놓친다면 보존적 치료가 어려워 수술이 불가피할 수 있으니 작은 증상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이른 시일 내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