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퇴행성관절염은 노년층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이 질환은 노화로 인한 관절의 퇴행이 주된 원인으로, 관절 사이에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돕는 물렁뼈인 연골조직이 점진적으로 손상되면서 발생하는데, 특히 노년층에서 발병률이 높아 많은 이들에게 고통을 안겨준다.
가장 큰 특징은 만성적인 통증이다. 관절 연골이 닳으면서 뼈와 뼈가 직접 마찰을 일으키게 되면 극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문제는 경미한 통증만 있는 퇴행성관절염 초기에는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그러나 연부조직인 연골 손상을 방치하다가 중기로 접어들면 부종과 열감이 동반되기도 하고 가벼운 움직임에도 통증이 나타나거나 말기에는 움직이지 않아도 통증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심한 경우 다리가 O자형으로 변형되면서 보행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과거에는 주로 고령자에게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여겨졌지만, 현대 사회의 생활 방식 변화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젊은 층에서도 퇴행성관절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관절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낀다면 즉시 정형외과 등 관련 의료기관을 찾아 X-ray, CT, MRI 등 영상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 하에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자연세병원 김포점 전병호 병원장은 "손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도수치료 등 보존적 치료만으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증상이 계속해서 악화되거나 말기 환자들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며 "수술적 치료는 관절내시경과 인공관절치환술 등이 대표적으로, 이중 손상된 관절을 제거하고 인공 관절로 대체하는 인공관절치환술은 뼈를 절삭하는 과정이나 삽입하는 인공관절의 위치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행히 최근에는 3D CT 촬영을 기반으로 뼈의 위치, 모양,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술 계획을 수립한 뒤 로봇이 정교하게 뼈를 절삭하고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인공관절수술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