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은 2025학년도 특수교육의 내실화와 통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8개 공모사업을 추진하며, 도내 63교에 98팀, 총 427명을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올해 공모사업은 △정다운 학교 △통합교육 거점 유치원 △장애 학생 문화예술 거점 특수학교 △장애 학생 문화예술체육 동아리 지원 △장애 학생 문화예술체육 재능 키움 지원 △고등학교 과정 전환지원 프로그램 △자격증 취득 과정 지원 △특수교사 연구 동아리 등 총 8개 영역의 사업으로 추진된다.
특히, 정다운 학교 사업은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업을 통한 통합교육 활성화를 목표로, 유․초․중․고 특수학급 13교를 선정해 교당 240만~300만 원을 차등 지원한다.
통합교육 거점 유치원 4개 원도 선정해 원당 410만 원의 예산을 지원해, 장애 유아의 사회적 역량과 자립심을 강화하고 비장애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계획이다.
장애 학생의 문화․예술․체육 활동 지원도 강화된다. 문화예술 거점 특수학교 5교를 선정해 교당 500만 원~1,500만 원의 운영비를 지원하며,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이 함께하는 문화예술체육 동아리 70개 팀에도 80만 원~150만 원의 예산을 차등 지원한다.
또한, 장애 학생의 예술적 재능과 끼를 발휘하고 문화․예술․체육 분야의 인재 양성을 위해 초1 ~ 고3 특수교육대상학생 중에서 현재 문화예술가나 운동선수로 활동 중인 학생, 문화․예술․체육 분야에서 우수한 실적을 거둔 학생과 학교장 추천 학생 등 101명을 선발, 1인당 40만 원의 예산을 지원해 장애 학생의 소질 계발을 돕는다.
진로․직업 교육도 확대된다.
고등학교 과정 전환지원 프로그램 운영 학교 41교를 선정해 교당 100만 원~200만 원을 지원하며, 장애 학생들의 사회 진출을 돕는 자격증 취득 과정 ‘나도 딸 수 있어’ 사업도 추진된다.
올해는 장애 고등학생 326명을 선정해 1인당 24만~40만 원을 지원하며, 교재비와 학원비, 시험전형료 등 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비용을 전폭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에는 247명의 학생이 참여해 170명이 바리스타와 지게차 운전 기능사, SW 코딩 등 다양한 자격증을 취득하는 성과를 거두며 학교 현장의 뜨거운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이와 함께 특수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연구 동아리 28개 팀을 선정, 팀별 72만~77만 원을 지원하며 교사 중심의 연구 활동도 적극 장려할 계획이다.
임종식 교육감은 “올해 특수교육 공모사업 추진을 통해 장애 학생들이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고 원하는 분야에 도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며, “앞으로도 학생 중심의 맞춤형 특수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