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치료제 후보물질 ‘압타민C’(NXP032) 먹는 약으로도 주사만큼 효과 입증
[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DNA 압타머(Aptamer) 전문 바이오기업 넥스모스
(Nexmos)가 자체 개발한 치매치료제 후보물질
‘압타민
C(NXP032)’가 경구 투여
(먹는 약
) 방식에서도 기존 주사제와 동등한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동물실험 결과를 저명한
SCI 국제학술지인 최첨단 약리학 저널
‘프론티어스 인 파마콜로지’(Frontiers in Pharmacology, Impact Factor : 4.8)를 통해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
이번 성과는 치매 치료제의 복용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넥스모스에 따르면
“DNA압타머 기반의 치매 치료 후보물질
‘압타민
C(NXP032)'를 치매유전자 동물모델에
8주간 경구투여한 결과
, 복강 내 주사와 같은 수준의 치료효과를 확인했다
”고 설명했다
.
연구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
(AD) 모델 마우스에
‘압타민
C(NXP032)'를 경구 또는 복강 내 투여하였을 때
, 두가지 투여방식에서 모두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의 축적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 미세아교세포와 별아교세포의 과활성화를 억제하여 뇌 내의 염증반응을 완화하였다
. 특히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부위의 신경세포 사멸을 두 투여 방식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 인지기능검사인
Y-미로 시험에서도 동등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
이번 연구를 주도한 경희대학교 김연정 교수는
"이번 결과는
‘압타민
C(NXP032)'의 약물 동태학적 측면에서도 매우 고무적
“이라며
”일반적으로 경구투여는 체내 흡수율이 낮아 정맥주사보다 많은 용량이 필요하고
, 그로 인한 전신 부작용 발생 우려도 있지만 본 후보물질은 경구 투여방식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 임상적으로 매우 유리한 결과
“라고 설명했다
.
이어 그는
”정맥주사 방식은 반복적 병원방문이 요구되므로 약물 이행도
(순응도
)가 낮아질 수밖에 없는데
, 경구투여방식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환자 친화적 복용 방식
“이라고 강조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