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앱의 취약한 OS 기본 API 보안 대신 ‘MTD·RTAS’ 시대로 전환 촉구
[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요즘은 악성앱을 사용자 단말에 설치해 기기를 장악한 뒤, 사회공학적 기법을 이용해 금융사고를 일으키는 피싱 범죄가 빈번하다. 만약 시스템 기본 함수만을 이용하는 금융앱이 해커의 후킹 툴에 의해 우회되고, 앱 내부에 악성 송금 로직이 삽입되어 유포된다면, 사용자가 송금하려던 대상이 아니라 해커의 계좌에 송금될 것이기에 지금의 피싱 범죄는 더욱 손쉽게 대규모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에버스핀은 이러한 보안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MTD(Moving Target Defense) 기반 보안 솔루션
‘에버세이프
(Eversafe)’를 공급하고 있다
. 에버세이프는 후킹이 쉬운 시스템
API를 사용하지 않아 일반적인 후킹 공격으로는 접근 자체가 어렵다
. 또한
, 시스템
API 가 아닌 시스콜
(Syscall)기반의 보안 코드 역시 주기적으로 변형되는 구조를 적용하여
, 업계 최상위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해커를 제외하고는 쉽게 도전할 수 없는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한다
.
에버스핀이
RTAS를 구현할 수 있는 이유는
, 자사의 또 다른 솔루션인 페이크파인더
(FakeFinder)라는 악성앱 탐지 기술이 이미 국내 주요 금융사
60곳에서 제공하는 앱에 탑재되어 누적
4,300만 기기를 보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 즉
, 페이크파인더
(FakeFinder)가 탑재되어 있는 금융앱이 서로를 지켜주며 보호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고
, 이를
RTAS라는 서비스명으로 제공하고 있는 금융 공동 안전망 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의미한다
.
차세대 모바일 보안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는
MTD 보안은 해외에서도 활발히 연구되는 분야다
. 에버스핀의 조사에 의하면 대규모 투자를 받은 미국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 약
12곳의 기업이 다년간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
에버스핀은 전 세계 유일하게 미국
, 일본
, 유럽
, 중국
, 한국 등
12개국에서
36건의 특허를 등록해 독보적인 기술적
·법적 경쟁 우위를 확보했다
.
에버스핀의 윤성욱
CTO는
“MTD 보안뿐만 아니라
, RTAS를 활용한 다층 보안 체계를 갖추는 것은 단순히 위험을 막는 차원을 넘어
, 당사의 기술을 도입한 고객사들이 그들의 앱 이용자들에게 안심하고 앱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핵심 차별점
”이라며
“앞으로도 차세대 보안 표준을 선도하고자 하는 국내외 고객사들과 협력해 국제적 수준의 보안 표준을 제시하고
, 모바일 생태계를 더욱 안전하게 만들겠다
”고 밝혔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