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김형운 기자] 경기도는 21일 궁평2지하차도 침수사고와 같은 참사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기존 재난상황실 비상대응체계와 별도로 하천 분야 도-시군 광역연락망을 사고발생 4일만에 구축했다.
.
도는 이날 31개 시군 하천부서 과장 등과 함께 ‘충북 청주 궁평2지하차도 자연재해 관련 하천분야 대책 점검 영상회의’를 열었다.
경기도가 청주지하차도 참사와 같은 사고를 막기위해 하천과 지하차도등 분야에 대한 광역연락망을 신속하게 구축했다.사진은 관계자들이 영상회의를 하고 있다.(사진=경기도)
이 자리에서 이같은 보완 대책과 각종 매뉴얼을 손보는 방안도 검토에 들어갔다.
도와 시군은 재해 상황 시 초기 대응이 중요한 만큼 능동적이고 선제적인 주민 대피와 교통 통제 등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도와 시군 하천부서 간 상황 대응 체계를 보완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하천 붕괴·범람 등의 재난이 발생해도 재난상황실 비상 대응 체계만 유지됐다.
그러나 이제는 하천 분야를 담당하는 도와 시군 전 직원이 들어간 비상 연락망(단톡방)을 구축해 하천 관련 재난 정보를 실시간 공유·전파한다.
자연재해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비상 상황에 능동적이고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연 1회 이상 전문가 강의도 실시한다.
이밖에 재해 상황 시 하천변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산책로, 자전거도로, 징검다리 이용에 대한 하천 출입로 차단 등 강력한 통제도 시군에 당부했다.
경기도 하천 관계자는 “경기도와 시군 관계자가 재해 발생 시 초기 대응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비상 대응 체계 시스템을 촘촘하게 교차 구축해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