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HOME  >  대학·교육

단국대, 광복 80주년 맞아 '한국 가곡을 들으셔' 특별전 개최

이봉진 기자 | 입력 : 2025-10-02 13:18

- 광복 80주년 맞아 일제강점기 한국 가곡 조명

- 오는 12월 19일까지 특별전 열어…무료관람(토‧일요일 및 공휴일 휴관)

- 사공수 ‘한양가’, ‘순종어필 옥류천상화첩’, 윤극영 ‘반달’ 글씨 등 전시해

석주선기념박물관 특별전'한국 가곡을 들으셔' 포스터. (사진제공=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특별전'한국 가곡을 들으셔' 포스터. (사진제공=단국대)
[비욘드포스트 이봉진 기자]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관장 박성순)은 특별전 ‘한국 가곡을 들으셔’를 지난 9월 26일부터 12월 19일까지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일제강점기 한국인의 애환을 위로하고 희망을 노래했던 한국 가곡을 조명하기 위해 기획됐다. 또한 1920~1940년대 한국 가곡의 태동과 발전을 이끈 음악가들의 자료와 당시 녹음된 원음을 간직한 레코드(SP판)를 직접 감상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한국 가곡(歌曲)은 1920년대 등장한 새로운 장르로 한국 시에 곡을 붙여 예술성을 높인 가곡을 의미한다. 초기 한국 가곡은 성악 가곡뿐 아니라 동요, 신민요, 대중가요까지 포괄하는 노래를 지칭했으며, 근대 제국주의 강압 속에서 민족적 정체성과 삶의 힘을 불어넣는 매개체가 됐다.

고종은 ‘아리랑 타령’을 즐겨 듣고 순종은 ‘조선판소리’의 노래를 들으며 위안을 삼았으며, 독립운동가를 비롯한 온 국민에게 가곡은 위로와 희망의 노래였다.
홍난파 동요 동판 (1933년, 국가등록문화유산) / (사진제공=단국대)
홍난파 동요 동판 (1933년, 국가등록문화유산) / (사진제공=단국대)
이번 주요 전시 품목은 ▶ 고종이 평상복으로 착용한 ‘누비저고리’(국가민속문화유산) ▶ 대한제국의 태평성세를 기원하며 순종이 신료들과 함께 지은 시를 모은 ‘순종어필 옥류천상화첩’(1908) ▶ 일제강점기 금서로 지정된 사공수의 ‘한양가’ 필사본 ▶ 홍난파가 작곡한 동요 동판(국가등록문화유산) ▶ 홍난파의 바이올린 및 유성기 등이다.

이와 함께 동양학연구원이 발간한 ‘다시 부르는 독립의 함성, 항일노래 600곡’(2022)의 항일노래 음원도 체험할 수 있다.

박성순 관장은 “일제강점기 가곡은 국권 침탈이라는 시대적 굴레 속에서 민족적 감성과 시대적 감성이 결합되어 비판적 성찰과 탈식민성이 두드러지게 드러난다”며 “이번 특별전은 한국 근대사의 아픔과 저항, 그리고 민족적 자긍심을 되새기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특별전은 ‘2025년 박물관‧미술관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경기도와 용인시의 지원을 받아 개최됐다.

전시 관람은 토‧일요일 및 공휴일을 제외하고,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석주선기념박물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bjlee@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학·교육 리스트 바로가기

인기 기사

최신 기사

대학뉴스

글로벌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