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김민혁 기자]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한혁수 교수 연구팀을 비롯한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중앙대학교병원, 동국대학교일산병원,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이 참여한 ‘환자-의사 공유의사결정(K-SDM-KOA)’ 모형 개발 연구가 의료현장 적용을 위한 중요한 단계에 들어섰다. 연구진은 지난 9월 21일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에서 세미나를 열고, 실제 진료에서 활용된 모형 사례를 공유하며 현장 중심의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각 병원 정형외과 전문의들이 참석해 1차로 개발된 공유의사결정(SDM) 도구를 실제 환자 진료에 적용한 경험을 영상으로 소개했다. 또한, 세계적 SDM 권위자의 자문을 거쳐 도출된 개선점을 함께 검토하는 과정도 진행됐다.
사진=한국형 SDM을 정교화하기 위한 각 병원의 연구원들의 세미나 진행 모습
공유의사결정(SDM, Shared Decision Making)은 환자와 의료진이 정보를 함께 공유하며 협의해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하는 모델이다. 환자가 자신의 가치와 선호를 반영해 치료를 결정할 수 있어 ‘환자 중심 진료(Patient-Centered Care)’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연구책임자인 한혁수 서울대병원 교수는 “SDM은 환자가 자신의 상황과 가치관을 충분히 반영해 치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모델”이라며, “이번 세미나는 실제 진료에서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한국 의료환경에 맞는 모형을 정교화하는 데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연구에서 개발되는 한국형 SDM 모형은 약 500만 명에 달하는 중증 슬관절염 환자의 치료 질을 높이고, 치료 선택 과정에서 환자의 만족도와 이해도를 향상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환자-의사 공유의사결정(K-SDM-KOA)’ 모형 개발 연구는 2023년 8월 시작해 2026년 말까지 진행되며, 완성된 모형은 1차 병원부터 3차 병원까지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보완될 예정이다. 연구진은 남은 기간 동안 현장 검증을 지속해 실효성을 높이고, 다양한 의료기관으로의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news@beyondpost.co.kr